KRnet 2022

INDEX

  • 인사말
  • 조직조직
  • 프로그램프로그램
  • 등록/행사안내등록/행사안내
  • 게시판 게시판
  • Past KRnet
  • Program

    /////
    세부프로그램


    Keynote Speech 1   :   6/27, 11:20 ~ 12:00

    인터넷과 공연예술 (Distributed Performing Arts on the Internet)
    지역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연주자들이 실시간으로 협연을 하는 공연예술 무대로서의 인터넷의 역할을 조명해 본다. 관련하여 2003년부터 시작된 DancingQ라는 프로젝트를 통해 시도해 본 망 운영 기술, 음향/영상 기술, 망 지연 상쇄 기술 등에 대한 경험을 소개한다. 또한, Metaverse 등 신기술의 출현으로 더욱 고도화가 가능해진 공연예술 무대로서의 인터넷의 미래를 전망해 본다.
    • 김 대 영 2021 Internet Hall of Fame Inductee

    • - 1983~2015 충남대학교 전자공학과/정보통신공학과 교수
      - 2000~2001 OSIA 회장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Keynote Speech 2   :   6/28, 11:00 ~ 11:40

    Cyberattacks, Hybrid War and our collective responsibility
    The cyber threat landscape is becoming increasingly contested and complex. Actors are increasingly willing to use cyber capabilities to pursue geopolitical or criminal goals causing cyberspace to become the front line in the defense of the rules-based international order.

    As builders and managers of much of our critical digital infrastructure, multinational private companies play a pivotal role in defending cyberspace. They have unique capabilities, including access to incredible amounts of data and are often the first to discover and respond to cyberattacks on all scales.
    • Tom BurtCorporate Vice President / Customer Security & Trust (CST)
    • Tom leads a cross-disciplinary team that works to improve customer trust in the safety and security of the digital ecosystem by advocating for global cybersecurity policy, partnering with public agencies and private enterprises to disrupt nation-state cyberattacks and support deterrence efforts, and combatting cybercrime. CST is also responsible for responding to law enforcement requests for access to data while protecting customer privacy, advocating for data access policy and managing Microsoft’s government clearance and national security compliance.

      In addition to his work at Microsoft, Tom races sports cars and participates in musical theater.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A1   :   6/27, 09:00 ~ 11:10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개방 현황과 성과
    디지털 뉴딜 정책의 핵심사업으로서 다양한 영역의 인공지능 응용개발에 필요한 기계학습용 데이터를 대규모로 구축하여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하고 있는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사업의 현황과 성과 등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유 호 진 팀장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 - 2000: 한국전산원 주임 연구원 입사
      - 2017: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수석연구원(AI데이터 실무책임)
      - 2021: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AI데이터사업2팀장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A1   :   6/27, 09:00 ~ 11:10

    자연 재해 지진 피해 예측용 인공지능 데이터셋 실증 소개
    인공지능의 응용사례로서 자연재해 지진 피해 예측을 위한 인공지능 데이터셋 테스트베드 실증 개발 현황을 소개한다. 특히, 진도 예측 학습 모델을 위한 데이터 셋, 건축 피해 예측용 데이터 셋, 인명 피해 예측용 데이터 등에 대한 수집, 전처리, 학습, 예측 개발 내역을 포함하여 발표한다.
    • 강 태 규 책임연구원 / KISTI/ETRI
    • - 2019-현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Data Driven Solutions융합연구단
      - 1989-현재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지능제조융합연구실 책임연구원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A1   :   6/27, 09:00 ~ 11:10

    언어처리 및 텍스트 분석 데이터셋과 AI 기술 트렌드
    기계독해, 패러프레이징, 요약, 질의 생성, Text2SQL, 의도 분류, 문맥 처리, 대화 관리 등 딥러닝 기반의 자언어 처리 및 텍스트 분석 기술의 R&D 트렌드를 살펴보고, 전자, 통신, 금융, 자동차, 조선해양, 리테일, 법률, 교육, 헬스케어 등 각 전문 산업 분야에서 어떻게 접목되고 있는지 실제 사례를 통해 소개한다. 특히, 점차 세분화 되어 가고 있는 기계독해 기술의 발전 방향에 대해서도 알아 볼 수 있는 시간이 될 것이다.
    • 김 동 환 대표이사 / ㈜포티투마루
    • - ㈜포티투마루 대표이사
      - ㈜SK커뮤니케이션즈 검색사업 본부장
      - ㈜엠파스 검색개발 실장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B1   :   6/27, 09:00 ~ 11:10

    Networked Media Technology: Past, Present, and Future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미디어 서비스(OTT, IPTV, VoIP, Interactive Broadcasting 등) 들이 어떻게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렀는지를 고찰하고, 미래 서비스의 방향을 기술적 관점에서 모색하고자 한다. 특히, 대용량, 고품질 비디오 서비스가 인터넷을 기반으로 어떻게 실현되고 발전해 나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관련된 최근 기술 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 정 광 수 교수 / 광운대학교
    •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임연구원
      - KAIST 전산학과 겸임교수
      - NV(Networked Video) 연구회 회장, 스마트 TV 포럼 운영위원장
      - OCF Korea 포럼 부의장, IPTV Korea 포럼 부의장
      - 광운대학교 전자통신공학과 교수


    • PDF Download

    Session B1   :   6/27, 09:00 ~ 11:10

    메타버스 디지털미디어의 변화, R&D 추진 방향
    ICT 발전에 따른 디지털미디어의 변화를 살펴보고, 메타버스를 비롯한 디지털 플랫폼이 가져올 디지털미디어의 새로운 기회 요인을 소개드립니다. 아울러, 메타버스에서의 디지털미디어 기술 경쟁력을 배양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주요한 연구개발 사례와 앞으로의 R&D 추진방향을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 이 준 우 PM (콘텐츠, 미디어)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한양대학교 전자공학과 석사 (1998)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99 ~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콘텐츠, 미디어 PM (정보통신기획평가원) (2019 ~ 현재)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이사
      - 4차산업혁명위원회 디지털헬스케어 특별위원회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B1   :   6/27, 09:00 ~ 11:10

    새로운 MPEG 2D 영상 압축 표준을 위한 기술 개발 동향
    영상 압축 기술은 미디어 서비스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핵심 기술 중 하나이다. 더 좋은 화질의 영상을 제공하는 새로운 미디어 서비스의 실현을 위해, 영상의 압축률을 향상 시키기 위한 노력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최근 제정된 2D 영상 압축 국제 표준인 VVC (Versatile Video Coding)의 표준화를 진행한 MPEG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에서는 새로운 영상 압축 표준 개발에 앞서 기술 탐색 단계를 진행 중에 있다. 본 강연에서는 새로운 MPEG 영상 압축 표준의 압축률 향상을 위해 고려되고 있는 기술들의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임 성 창 책임연구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세종대학교 컴퓨터공학과 학사 (2006.02)
      - 세종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석사 (2008.02)
      - 세종대학교 컴퓨터공학과 박사 (2022.0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근무 (2008.03 ~)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B1   :   6/27, 09:00 ~ 11:10

    K-OTT 미디어 서비스 전망
    영상 스트리밍 기술의 확산과 함께 등장한 OTT 서비스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촉발된 디지털 대전환과 맞물려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성장하면서 다양한 서비스들이 등장했다. 그리고 현재 엔데믹 전환과 함께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OTT 산업이 현재까지 어떻게 성장해 왔는지를 살펴보고, K-OTT가 현재의 변화하는 미디어 콘텐츠 산업에서 어떤 전략으로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는지 전망한다.

    Session C1   :   6/27, 13:00~14:50

    6G Network/system aspects
    가상화/Cloud를 중심으로 기존에 엄밀하게 나뉘어 있던 RAN과 Core 간 경계 및 communication과 computing 간 경계가 희미해지고 AI/Data 의 역할이 커지고 있는 경향성은 점점 더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경향성을 바탕으로 6G network/system으로의 진화 방향성, 연구 분야 등에 대해서 논의한다.
    • 김 동 명 프로 / 삼성리서치

    • - 2012.03 – 2015.10 :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 시스템설계랩
      - 2015.11 – 2018.04 : ETRI 표준연구본부
      - 2018.05 – 2021.04 : SK텔레콤 기술원
      - 2021.04 – 현재 : 삼성리서치 6G 연구팀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C1   :   6/27, 13:00~14:50

    Architecture evolution towards 5G-Advanced and 6G – Vertical aspects
    본 발표에서는 3GPP에서 진행되고 있는 5G 진화 시스템 표준 기술 동향, 6G 시스템 구조에 대한 전망 및 네트워크 기술을 소개한다. 특히, V2X, 스마트 펙토리 등 Vertical 사업을 고려한 여러 가지 시스템 진화 기술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 김 현 숙 책임 / LG전자

    • - 연세대 컴퓨터공학과 공학박사
      - 2005년~현재 LG전자 표준연구소 표준화연구원
      - 3GPP SA, CT plenary 및 WG delegate활동. 3GPP 시스템 및 프로토콜 표준화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D1   :   6/27, 09:00~11:10

    6G 이동통신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
    다양한 스펙트럼과 많은 수의 무선기기, 그리고 높은 전송률과 낮은 지연시간 등 다양한 사용자의 통신 요구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수단으로 근래 인공지능 기술이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6G 이동통신을 위한 인공지능 방법론을 설명하고 인공지능을 활용한 물리계층 무선통신 시스템을 소개한다.
    • 심 병 효 교수 / 서울대학교

    • -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2014-현재)
      - 고려대 컴퓨터통신공학부 교수 (2007-2015)
      - 미 퀄컴사 연구원 (2005-2007)
      - 미 일리노이대 전기컴퓨터공학 박사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D1   :   6/27, 09:00~11:10

    우주 초연결을 위한 온보드 컴퓨팅 기술
    최근 SpaceX의 Starlink, Amazon의 Kuiper와 같은 대규모 저궤도 위성망 프로젝트 진행 및 3GPP 5G NTN 표준 포함과 함께 위성통신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3D초연결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우주 초공간 AI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위성간 통신 및 온보드 컴퓨팅과 같은 기반기술의 혁신적 발전이 필수적이다. 본 발표에서는 저궤도 위성망 핵심기술 연구개발 동향을 파악하고, 위성 온보드/에지 컴퓨팅 발전 방향과 활용 분야를 전망해본다.
    • 최 지 환 부교수 / KAIST

    • - 現 한국과학기술원 항공우주공학과 부교수
      - 2013~2021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정보통신융합전공 조교수/부교수
      - 2019 삼성전자 방문연구(美 San Diego 연구소)
      - 2016~2017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위성 R&D Planner(비상근)
      - 2006~2012 美 Marvell 반도체 Principal Systems Engineer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D1   :   6/27, 09:00~11:10

    Telecom DX를 가속화하는 Network AI 기술
    최근, 통신사업자는 네트워크 운용 업무 자동화/지능화를 목적으로 네트워크에 AI 기술을 적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운용 업무의 DX가 가속화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KT 유무선 네트워크에 적용되어 있는 AI 기술에 대해 소개한다. 특히, 3GPP 기반의 무선 코어와 액세스망에 각각 적용된 AI 기술과 적용된 기법들을 소개하며, IP망에서 망 안정성 개선을 위해 적용중인 AI 기술에 대해 소개와 진화방향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 이 광 국 팀장 / KT

    • - 2008.3~2012.2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네트워크공학 박사
      - 2012.3~2012.8 한국과학기술원 박사후연구원
      - 2012.9~현재 : KT 인프라DX연구소 수석 연구원/팀장
      - 2016~2017 : TTA PG201 MPLS-TP 실무반 의장
      - 2016~2019 : TTA 산업융합네트워크포럼 간사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E1   :   6/27, 09:00~11:10

    AI x 5G 시대의 주요 기술 및 서비스
    대한민국은 COVID-19로 인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으며, 5G, AI 기반으로 산업의 변화속도는 더욱 가속화 되고 있습니다. 본 강연에서는 이와 같이 급변하는 환경에서, SK텔레콤이 준비하고 있는 5G, AI 관련 주요 기술을 소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확산되고 실현될 서비스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합니다.
    • 이 종 민 VP / SK텔레콤

    • - 2010.10~現, SK텔레콤
      (現) T3K Innovation 담당, Tech Combinator 담당
      (~2019.6) 미디어 기술원장
      - 2019.05~現 GSMA TG Member
      - 2017.02~現 ITU-T SG11 Q7 의장, AI 표준화 Editor
      - 2017.12~現 한국 방송미디어공학회 이사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E1   :   6/27, 09:00~11:10

    가상세계 디지털경제 기반 기술, NFT의 역할
    블록체인, 웹3, 메타버스 등 다양한 산업기술의 발달로 향후 가상세계에서도 현실세계와 같은 실물 경제활동 및 재화의 사용이 가능한 대체 기술로 NFT가 사용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 NFT에 대한 이해와 NFT가 가상세계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허 원 호 이사 / 코인플러그

    • - 코인플러그 사업개발 이사
      - 한빗코 가상자산거래소 COO
      - Andbeyond PE HR담당
      - 제너시스 BBQ 영업과장
      - 한국피자헛 영업팀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E1   :   6/27, 09:00~11:10

    비대면 혼합현실 환경에서의 보안 및 프라이버시
    코로나19로 인하여 원격근무, 온라인 교육 등의 비대면 서비스가 일상화되었다. 코로나로 인하여 단절된 삶을 연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선택한 비대면 혼합현실 서비스가 점점 우리 생활의 일부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지금으로부터 30년전인 1992년 닐스티븐슨의 SF소설인 ‘Snow Crash’에서 유래한 메타버스(Metaverse)가 요즘 널리 회자되고 있다. 국내외적으로 메타버스에 대한 산업적/정책적 관심이 커지면서, 메타버스가 그려낼 밝은 미래에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메타버스가 긍정적인 부분만 있는 것은 아니다. 메타버스는 우리의 삶에 더욱 밀착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보안 및 프라이버시에 대한 대응이 소홀하면, 메타버스는 ‘유토피아’가 아니라 ‘디스토피아’가 될 수 있다. 본 발표에서는 보안 입장에서 메타버스에 대한 정의 및 특징을 살펴보고, Microsoft, Meta등과 같은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의 동향과 현재 메타버스 서비스에서 발생한 보안 문제점 및 관련 논문들에서 제시하고 있는 보안 및 프라이버시 위협들을 알아본다. 끝으로 앞에서 살펴본 내용을 토대로 새롭게 도래하는 비대면 혼합현실 공간인 메타버스에서 ‘나’와 ‘우리’를 지키기 위하여 보안과 프라이버시 측면에서 어떤 부분들에 좀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지를 ACE라는 키워드로 정리하여 제시한다.
    • 진 승 헌 책임연구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2004. 충남대학교 컴퓨터과학과(정보보호) 이학박사
      - 1995. 숭실대학교 전자계산학과 공학석사
      - 1993. 숭실대학교 전자계산학과 공학사
      - 1999.6 ~ 현재 ETRI 정보보호연구본부 책임연구원
          *. 인증기술팀장, 기술기획부장, 정보보호연구본부장 역임
      (現) 한국정보보호학회 이사, 국민생활과학자문단 사이버안전분과 위원, 전자서명 인정위원회 위원 등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A2   :   6/27, 13:00 ~ 14:50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PaaS-TA) 개발 현황 및 고도화
    클라우드 네이티브 및 플랫폼의 국내외 동향 및 국내 클라우드 플랫폼 생태계 조성·활성화 지원을 위한 오픈소스 프로젝트 파스-타 R&D 현황 및 로드맵과 다양한 민관협력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 윤 희 근 책임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 -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석사/박사
      - 現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책임연구원(2016~)
      ※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개발·확산 및 생태계 조성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A2   :   6/27, 13:00 ~ 14:50

    HPC와 클라우드에서 고성능 이더넷 네트워킹
    High bandwidth, low latency 를 보장하기 위해서 Transport layer 의 중요성을 다루고, fabric telemetry/signaling 이 어떻게 congestion control, adaptive/disperse routing 성능을 향상시키는지 보인다.
    • 이 정 근 Senior Principal Engineer / Intel Corp.
    • - Chief Architect, Advanced Applications, Intel P4/Tofino (2019 ~)
      - Technical Director, Barefoot Networks, (2015-2019)
      - P4.org Technical Steering Team (2021~)
      - Co-chair, P4 Application Working Group (2016-2021)
      - Principal Researcher, HP Labs (2008-2015)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A2   :   6/27, 13:00 ~ 14:50

    초대형 AI모델 학습 플랫폼 NSML
    딥러닝 분야가 진보하고 하드웨어의 계산성능이 발전함에 따라, AI모델의 규모 또한 발빠르게 성장하여 더욱 복잡한 문제를 풀 수 있게 되었습니다. 경쟁력 있는 초대형 AI모델을 구축하려면 그에 최적화된 학습 인프라와 개발환경이 필요합니다. 네이버 클로바의 NSML은 초대형 AI모델의 개발과 학습에 초점을 맞춘 AI모델 학습 플랫폼입니다. 이번 발표에선 NSML의 역할과 기능을 소개하고 대규모 GPU 클러스터를 포함한 관련 기술을 살펴봅니다.
    • 이 흥 섭 리더 / 네이버
    • - 현 네이버 클로바 리더
      - 카카오브레인 소프트웨어엔지니어
      - 넥슨코리아 리더
      -〈PyTorch〉 파이프라인병렬화 API 개발
      - 오픈소스 〈한글라이즈〉 개발
      -〈야생의 땅: 듀랑고〉 개발
      - 광운대학교 중퇴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C2   :   6/27, 15:10~17:00

    5G Core Network from Perspective of Standardization and Development
    최근 3GPP에서는 이동통신 서비스 뿐만 아니라 시민감성 서비스 및 AI/ML 서비스 지원을 위해 모바일 네트워크 내의 트래픽 처리 및 모바일 네트워크의 개방성 등 다양한 기술들을 표준화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다양한 네트워크 (Time sensitive network (TSN)) 기술 및AI/ML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3GPP 코어 네트워크 표준화 내용을 살펴보고, 오픈소스를 통해 표준에서 정의한 코어 네트워크 기능들 간의 Service based Interface (SBI)를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이 재 욱 선임연구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학사 (2014)
      -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박사 (2021)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연구본부 선임연구원 (2021 ~ 현재)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C2   :   6/27, 15:10~17:00

    Open5GS 소개
    Open5GS는 3GPP Release 16을 준수하는 C언어 기반의 5G 코어 오픈소스 프로젝트이며 GNU AGPLv3.0 라이선스를 준수하고 상업용 라이선스도 제공하고 있다. 5G 코어에서 기본이 되는 AMF, SMF, UPF에 추가로 NRF, UDR, AUSF, PCF, UDM, BSF, NSSF 등의 코어 요소들도 구현된 상태이며 현재도 계속해서 추가적인 코어 요소들이 구현되는 중이다. N2/Xn 핸드오버와 VoNR을 지원하고, 5G RAN과의 연계성은 다양한 Commercial 5G gNB를 연결해 구성할 수 있다. Open5GS의 전체 코드는 Github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Session C2   :   6/27, 15:10~17:00

    이음5G 서비스 해외 동향과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
    이음5G는 특정구역에 한하여 사용할 수 있는 맞춤형 5G 네트워크로서, 최근 디지털 전환 추세에 따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제도, 실증 등 국내 이음5G 도입현황을 소개하고, 해외 주요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실증 현황과 미국, 일본 등에서 등장하고 있는 이음5G 전문기업을 통한 서비스 사례를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이음5G 생태계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하고, 해외 사례 시사점 분석을 통해 이음5G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안한다.
    • 이 상 윤 팀장 /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 - 2000년 홍익대학교 전파공학과 (학사)
      - 2002년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석사)
      - 2002~2006년 LG전자 MC사업부 선임연구원
      - 2006년~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 2013년~ 한국ITU-R연구위원회 SG5연구위원
      - 2021년~ TTA ICT국제표준화전문가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D2   :   6/27, 13:00~14:50

    ARCVERSE와 이를 위한 로봇 비전 기술
    ARCVERSE는 AI, 로봇, 클라우드, 디지털 트윈 등의 기술 융합을 통해 현실과 디지털 공간을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네이버랩스의 기술 생태계를 의미합니다. 다수의 로봇(지능형 모빌리티)가 현실에서 효과적으로 주행하며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서비스 공간 전체의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기 위한 기술과 이 안에서 로봇의 위치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비전 기술 등을 개발해왔고, 이러한 기술들은 클라우드 플랫폼 위에서 수십 대의 로봇을 실제로 제어하고 있습니다. 본 발표에서는 기술들을 전반적으로 소개하고, 실제 서비스에의 적용 사례를 나누고자 합니다.
    • 연 수 용 Leader / 네이버랩스

    • - ~ 2017.02.: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 박사
      - 2017. 03. ~ 현재: 네이버랩스 재직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D2   :   6/27, 13:00~14:50

    자율주행시뮬레이션을 위한 에이전트 학습
    시뮬레이션은 자율 주행 차량의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 꼭 필요한 도구입니다.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가장 힘든 일 중 하나는 테스트를 하는 것인데, 자율주행 테스트는 비용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위험하기 때문입니다.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다양한 테스트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시뮬레이션의 성능은 자율 주행 차량 개발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정확한 테스트를 위해선 시뮬레이션을 현실처럼 만드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자율주행 자동차와 상호 작용하는 주변 에이전트 (즉, 사람 운전자, 보행자, 자전거 등)에 대한 모델이 필요합니다. 주변 에이전트는 현실처럼 동작하면서도 실제 운전자들이 보이는 행동 분포와 비슷한 다양한 행동을 재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번 강연에서는 자율주행 자동차가 주행 중 얻은 데이터를 활용하여 모방학습 (imitation learning)을 기반으로 자율주행 시뮬레이션에 특화된 에이전트를 학습하는 기법을 소개합니다.
    • 김 대 우 인공지능총괄 (CAIO) / 에이슬립

    • -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학사
      - 카이스트 전기및전자공학과 박사
      - 2019: Latent Logic
      - 2019-2021: Waymo UK
      - 2022- present: Asleep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D2   :   6/27, 13:00~14:50

    인공지능 기반 미래 모빌리티 시스템 기술
    최근 자율주행자동차, 무인이동체, 드론택시, 개인형 항공기를 포함한 미래 도심 모빌리티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미래 자율 모빌리티 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하여 안정적인 컴퓨팅, 분산 컴퓨팅, 그리고 신뢰성 있는 컴퓨팅 방식을 구분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방식에 대하여 인공지능 기반의 최근 연구를 소개하고 앞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를 논의한다.
    • 정 소 이 조교수 / 한림대학교

    • - 2021.09-현재 한림대학교 소프트웨어학부 조교수
      - 2021.09-현재 University of California at Irvine 방문연구원
      - 2021.03-2021.08 고려대학교 정보통신기술연구소 연구교수
      - 2021.02 아주대학교 전자공학과 박사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E2   :   6/27, 13:00~14:50

    메타버스 기술 진화가 가져 올 일과 교육의 미래
    AR/VR 플랫폼 기술과 가상세계를 만들어 내는 다양한 가상화 기술들이 함께 진화되면서 교육과 학습의 영역에 변화와 혁신이 일어나고 있다. 기술적 진화와 더불어 협력하고 함께 배우는 글로벌 시티즌쉽이 교육의 장위에 확장되고 있고 과거와 다른 교육의 패러다임이 만들어 지고 있다. 더 나아가 일하는 방식의 혁신이 일어나면서 배우고 일하고 가치를 만들어내는 새로운 미래를 이야기 한다.
    • 최 형 욱 대표 / 라이프스퀘어 | 퓨처디자이너스

    • -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MS, Electrical Engineering / Computer Networks
      - Samsung Electronics : R&D, Mobile devices & emerging technologies
      - FUTURE DESIGNERS| : future designer & CEO
      - L!FE SQUARE : innovation catalyst & CEO
      - Ziillion Technology : co-founder & CEO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E2   :   6/27, 13:00~14:50

    디지털교육플랫폼과 교육서비스 정책방향
    지난 2년여 간의 코로나 19 팬데믹을 거쳐오면서 우리 사회는 많은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전환과 맞물린 이러한 급격한 변화의 경험은 교육현장의 모습을 크게 바꾸어 놓고 있다. 우리는 코로나 19기간 동안의 디지털교육 경험을 미래교육을 위한 기반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 본 원고에서는 코로나 19 이후의 교육회복과 미래교육 전환을 위해 현재의 경험과 디지털교육의 기반을 살펴보고, 이러한 기반하에 고민해야할 향후 디지털교육플랫폼과 교육서비스의 정책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 장 시 준 디지털교육정책본부장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디지털교육정책본부장(현)
      - 한국정보교육학회이사(현)
      - 교육부 교육정보통계위원회(현)
      - 경기도 평생교육진흥원 자문위원(현)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E2   :   6/27, 13:00~14:50

    뉴노멀 시대에 주목해야 할 에듀테크 트렌드
    지난 2년여 코로나 팬데믹 기간 중 더 심화된 학력격차가 사회적인 이슈가 되고 있다. 이 세션에서는 학생의 수준에 맞춰서 개별화된 학습 과정을 지원함으로써 학력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다양한 AI 활용 방안에 대해서 소개한다. 또한 지난 20여년 동안 에듀테크의 발전 과정을 짚어보고 주목해야 할 트렌드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끝으로 현재 상용화된 AI 응용 기술과 유즈케이스를 소개하다.
    • 조 용 상 부사장 / 아이스크림에듀

    • - 2017~ 현재 아이스크림에듀 부사장
      - 2002~2017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위원
      - 2011~2013 스마트미디어 국가표준 코디네이터
      - 2011~ 현재 국제표준화기구(ISO/IEC JTC1 SC36, SC34) 워킹그룹 의장
      - 2017 Bet Research Poster Awards (SoLAR, LAK 17)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F2   :   6/27, 13:00~14:50

    디지털 트윈 기술, 표준 및 활용
    디지털 트윈은 제조, 항공, 조선, 교통,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점점 활용 분야가 늘어나고 있다. 이들 응용들이 공유하는 기본 개념과 이에 대한 기술 이슈를 소개하고, 디지털 트윈 관련 표준화 동향과 표준을 산업적 응용에 적용하기 위한 사례를 소개하여 표준 활용 방안을 설명한다.
    • 김 용 운 책임연구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1993.3~1995.2, 포항공대 공학석사
      1995.2~200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표준연구센터 선임연구원
      2001.5~2002.1, ㈜ZTE퓨처텔 차세대인터넷연구팀장
      2002.2~2004.4, 이니텍㈜ CTO/보안기술연구소장
      2004.5~현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표준연구본부 책임연구원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F2   :   6/27, 13:00~14:50

    메타버스에서의 자율형 디지털 트윈
    사물인터넷 – 인공지능 – 디지털트윈 – 메타버스 기술의 연계는 물리세계에 대한 가상세계 트윈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요소이다. 본 강연에서는 메타버스 자율트윈 연구센터에서 수행중인 자율 지능을 가지는 사물의 디지털 쌍둥이인 자율트윈 기술과 메타버스 가상공간에서 자율트윈 간 상호작용을 통해 만들어지는 미래 디지털 세상에 관한 연구의 방향 및 최근 수행된 연구 내용에 대하여 소개한다.
    • 김 재 호교수 / 세종대학교

    • - 과기부 메타버스 자율트윈연구센터(ITRC) 센터장 (현)
      - 세종대학교 전자정보통신공학과 교수(현)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자율지능IoT연구센터장 (2000.6~2020.8)
      - TTA 사물인터넷 및 스마트시티 플랫폼 PG 의장 (현)
      - 한국통신학회 집행이사/국내논문지 편집장(현)
      -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 박사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F2   :   6/27, 13:00~14:50

    디지털트윈의 산업적 응용 서비스
    자동차 제조공정이 기존 컨베이어방식의 시스템에서 셀공정의 유연생산방식으로 바뀜에 따라 가상공정과 실제공정을 실시간 구현 및 서비스 가능한 좀더 확장된 형태의 디지털트윈 서비스 플랫폼이 필요하다. 이에 로봇, 지그, AGV등 기타 자동화관련 요소기술들은 사전 통합된 가상 시뮬레이터 플랫폼에서 구현되어야 하고, 또한 실시간 수정내용이 반영/분석 되어야 한다.
    • 최 정 호책임매니저 / 현대자동차 제조솔루션본부 자동화기술부

    • - 현대자동차 공채 입사 (2004)
      - 제조솔루션본부 자동화설계팀 근무 (~2016)
      - 제조솔루션본부 자동화기술부 기획부문 (~2019)
      - 제조솔루션본부 자동화기술부 제작부문장 역임 (~2021)
      - 제조솔루션본부 자동화기술부 로봇자동화 부문장 역임중 (2022~)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Tutorial I   :   6/21, 13:00 ~ 14:50

    깃허브 제대로 알기
    깃허브는 전세계 개발자들이 소스코드를 오픈하고, 공동 개발하는, 가장 널리 알려지고 가장 많이 활용하는 플랫폼입니다.

    본 강의는 다수의 개발자가 공동 개발시 필요한 기초를 다룰 예정입니다.

    1. Github Organization 생성
    2. Team 멤버 구성 및 권한 설정
    3. Repository 생성, Project Board 활용법
    4. Issue 생성, Pull Request 오픈
    5. 코드 리뷰 및 병합
    • 김태완 프로 / 삼성전자
    • - 2010년 – 현재 삼성전자 삼성리서치 Staff Engineer
      - LF HomeEdge 오픈소스 프로젝트 메인테이너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Tutorial I   :   6/21, 13:00 ~ 14:50

    스마트홈 엣지컴퓨팅 오픈소스: 리눅스재단 HomeEdge 프로젝트 소개
    기기간 인터넷 연결에서 출발한 IoT 연구 개발은 프로토콜, 데이터 모델 상호호환성 보장을 위한 오픈소스 협업 개발로 이어졌고, 최근에는 클라우드 연계와 함께 로컬 네트워크에서의 엣지컴퓨팅을 통한 서비스 고도화로 진화하고 있다. 특히 Privacy, 실시간성의 장점이 있는 엣지컴퓨팅 플랫폼을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려는 시도들이 오픈소스 진영에서 진행 중이다. 본 발표에서는 이와 관련된 동향 및 리눅스재단에서 ‘19년 1월에 런칭한 오픈소스인 HomeEdge 프로젝트 목표, Use Case, 주요 릴리즈 및 향후 로드맵을 소개하고자 한다.
    • 홍문기 프로 / 삼성전자
    • - 2005년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학사
      - 2008년 同 대학원 석사
      - 2013년 同 대학원 박사
      - 2013년~삼성전자 삼성리서치 (舊 소프트웨어센터) 재직
      - 2016년~2018년 Open Connectivity Foundation (OCF) Open Source Bridging TG 의장
      - 2019년~현재 LF Edge 산하 Home Edge 프로젝트 메인테이너
      - 2019년~현재 LF Edge Board of Directors
      - 관심분야 : 통신 오픈소스, 개방형 표준 및 관련 기술 (ONAP, LF Edge, O-RAN, DPDK 등)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Tutorial II   :   6/22, 13:00 ~ 14:50

    Backend AI로 시작해보는 AI 오픈소스 소개 및 실습
    딥러닝 및 AI 연구와 개발의 대부분의 시간은 실제 연구보다는 환경을 준비하고, 테스트하고, 스케일링하는 작업에 소모됩니다. 이 세션에서는 오픈소스 머신러닝 분산처리 프레임워크인 Backend.AI를 사용하여 널리 사용되는 AI 오픈소스 프레임웍인 TensorFlow 및 PyTorch 작업 환경을 만들고, 간단한 모델을 설계한 후, 큰 규모의 훈련을 위해 클러스터와 클라우드 레벨로 확장하는 과정을 튜토리얼을 통해 직접 경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신정규 대표 / Lablup
    • - 포스텍 물리학과 박사 (통계물리학/복잡계뇌과학) (2013)

      - Lablup Inc. 대표 (2015~)
      - Google Developers Experts (Machine Learning 분야) (2016~)
      - 동북아 공개SW 활성화포럼 ISB 위원 (2019~)
      - 텍스트큐브 오픈소스 프로젝트 메인테이너 (2006~)
      - (전) 한양대학교 에리카캠퍼스 소프트웨어학부 겸임교수 (2016~2019)
      - (전) 글로벌 오픈프론티어 (오픈소스 개발자), KossLab. (2014, 2016~2019)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Tutorial II   :   6/22, 13:00 ~ 14:50

    Cloud Barista로 알아보는 멀티클라우드 인프라 연동 및 PoC
    본 강연에서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차기 클라우드 기술인 멀티클라우드의 개요 및 주요 기술을 공유하고, 국내에서 멀티클라우드 기술을 개발 중인 공개SW 커뮤니티 Cloud-Barista를 소개한다. 또한, 현업 개발자들의 이해 및 활용을 돕고자 Cloud-Barista 플랫폼을 활용하여 멀티클라우드 인프라 구성을 위한 이종 클라우드들의 연동 방식 및 이슈를 실습을 통하여 살펴본다.
    • 김병섭 책임 / ETRI
    • - (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클라우드기반SW연구실 책임연구원
      - (현) Cloud-Barista 공개SW커뮤니티 기술총괄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A3   :   6/27, 15:10 ~17:00

    Data-centric MLOps
    Superb AI가 고객과 함께 구축하고 있는 "데이터 파이프라인의 효율화" 방안에 대해서 소개한다. 세부적인 내용으로 Data Centric AI 개발 방법론의 실사례 및 성공케이스, 다양한 데이터 메타정보 및 레이블의 통계/분석 자료를 활용 방안, 마지막으로 Active Learning을 활용한 데이터를 구축 방안을 다룬다.
    • 이 현 동 이사 / 슈퍼브에이아이
    • - (현) Superb AI Co-founder & Head of Sales / CS
      - (전) SKT 역량기획팀
      - (전) POSCO 연주기술개발팀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A3   :   6/27, 15:10 ~17:00

    AI Computing in Private Cloud
    많은 기업들이 On-premise에서 AI Training을 위한 Computing 환경(GPU, CPU, Storage 등)을 구축하여 활용하고 있다. 그리고, 효율적인 자원 활용과 AI 개발 편의성 향상을 위해서 Private Cloud 기술을 적용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Private Cloud 환경에서 AI 개발자들에게 Computing 환경을 제공할 때, 겪을 수 있는 이슈와 대응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 이 상 우 Principal Engineer / 삼성전자
    • - 현) 삼성전자 삼성리서치 수석연구원(2012~)
      - 전) LG CNS 정보기술연구소 연구원(2000~2012)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A3   :   6/27, 15:10 ~17:00

    Cloud Robotics Applications
    클라우드 로보틱스는 ‘로봇 엔진의 일부가 로봇이 아닌 외부 프로세서를 이용해 실행됨’으로 폭넒게 정의될 수 있습니다. 통신 기술의 발달로 클라우드 로보틱스가 대두되고 있고, 현 기술 수준으로 구현 가능한 애플리케이션들을 소개합니다.
    • 김 영 재 연구위원 / LG전자
    • 학력
      - 1999 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 학사
      - 2003 스탠포드 대학교 전기공학과 석사
      - 2007 스탠포드 대학교 전기공학과 박사

      경력
      - 2019.1 – 현재 연구위원, LG전자
      - 2017.8 – 2018.9 수석 엔지니어, 벨로다인 라이다
      - 2009.10 – 2017.7 시니어 통신 시스템 엔지니어, 애플
      - 2007.10 – 2009.10 시니어 엔니지어, 퀄컴
      - 2006.8 – 2007.9 시스템 엔지니어,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 2004, 2005 박사과정 여름 인턴, 인텔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A3   :   6/27, 15:10 ~17:00

    MLOps for Multiple GPUs
    인공지능 개발을 위해서는 고성능 컴퓨팅 기술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GPU의 사용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고성능 컴퓨팅을 위해 GPU 이외의 다양한 HW가 개발되고 있으나, 아직은 GPU의 활용이 일반적인 상황이다. 이번 발표에서는 인공지능 서비스 개발을 위한 MLOps 플랫폼에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GPU 기술들에 대해 소개한다. 하나의 GPU를 사용하는 경우 활용 가능한 기술에서부터 다수의 GPU와 다수의 서버 혹은 복수개의 클러스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서비스 개발까지 MLOps에서 제공가능한 GPU 기술들에 대해 다룬다.
    • 이 경 준 사업부장 / ㈜아크릴
    • - 광주과학기술원 정보통신공학부 석사
      - 광주과학기술원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박사 수료
      - (現) ㈜아크릴 Jonathan Platform 사업부 사업부장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C3   :   6/21, 15:10~17:00

    시각미디어로서의 디지털 홀로그래피
    인류는 둘러싸고 있는 환경, 그리고 나 자신을 그대로 표현하고, 다시 보고, 만지고, 느끼고 싶다는 기본적인 욕망을 ‘미디어’로 표출하였고, 모든 미디어의 가장 기본적인 속성은 ‘현실과 같은 재현(representation)’ 이다. 본 발표에서는 가장 이상적인 3D 시각 미디어로서 홀로그램 기술을 소개하고, 특히 생성과 재현 관점에서의 주요 이슈를 제시한다.
    • 박 중 기 실장 / ETRI

    • - ETRI 디지털홀로그래피연구실 실장, 책임연구원(1995 - 현재)
      - 한국저작권위원회 SW감정인(1997 – 현재)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실감방송연구회 회장(2020 - 현재)
      - 실감미디어포럼 홀로그램방송연구반 반장(2020 – 현재)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C3   :   6/21, 15:10~17:00

    AI기반 멀티뷰 제작시스템(VERTIGO, 버티고)
    KBS미디어기술연구소에서 개발한 인물인식 AI기술기반 멀티뷰 제작시스템 VERTIGO(버티고) 사례를 소개합니다. VERTIGO는 최대 8K 화질의 초고해상도 영상에서 인물인식 AI기술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인물을 추적하여 인물별로 무빙크롭 영상을 만들 수 있는 솔루션입니다. VERTIGO는 현재 매주 뮤직뱅크 아이돌 멤버별 직캠 제작에 사용되고 있으며, 직캠 이외에도 리액션 카메라 제작이나 SNS용 영상 리프레이밍 등 실제 방송 제작 분야에 응용될 수 있습니다.
    • 최 성 우 연구원 / KBS

    • -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산업경영공학과 학사
      -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문화기술대학원 Visual Media Lab석사
      - 한국방송공사(KBS) 미디어기술연구소 선임연구원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C3   :   6/21, 15:10~17:00

    네트워크 기반 스튜디오 다채널 제작시스템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아 다채널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스튜디오 다채널 제작시스템을 소개한다. 특히 HD, UHD 제작을 동시에 지원하고, N개의 스튜디오에서 네트워크로 공유된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받아 제작하는 시나리오 등을 설명한다.
    • 노 민 철 차장 / MBC

    • - 문화방송 방송IT센터 미디어기술연구팀 차장
      - 연세대학교 컴퓨터공학 석사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C3   :   6/21, 15:10~17:00

    AI 기반 비디오 메타데이터 생성 기술
    오늘 날 AI 기술은 딥러닝 기술의 발전으로 눈부신 성장을 이루고 있다. 컴퓨터 비전 영상 인식 기술의 발전으로 샷 단위의 정밀한 비디오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게 되었다. 얼굴 인식, 사물 인식, 배경 인식 기술을 활용해 타임라인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이는 아카이브 영상 검색, 편집에 활용할 수 있다. 본 강연에서는 AI 기반 비디오 메타데이터 생성 기술 개발 과정과 그 결과를 공유하고자 한다.
    • 이 용 건 선임 / KBS

    • - 2013년 8월 :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공학사
      - 2016년 2월 :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석사
      - 2016년 1월 : KBS 기술연구소
      - 2019년 3월 ~ 현재 : KBS 미디어기술연구소 AI&DATA팀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D3   :   6/27, 15:10~17:00

    Federated learning in AI for Net: Efficiency and Privacy
    본 발표에서는 분산학습의 한 형태인 연합학습(federated learning)을 소개하고, 이를 실제 환경(예: 네트워크 망 관리)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히, 연합학습에서 요구되는 계산/통신 비용을 줄이는 연구들과, 연합을 위해 필수적인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연구에 집중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 옥 정 슬 교수 / 포항공과대학교

    • - 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전자공학과 학사 (2011)
      - 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전자공학과 박사 (2016)
      - 스웨덴 KTH 박사후연구원 (2017~2018)
      - UIUC/U. of Washington 박사후연구원 (2018~2019)
      - 포항공과대학교 컴퓨터공학과/인공지능대학원 조교수 (2019~현재)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D3   :   6/27, 15:10~17:00

    뉴로모픽 학습기법 소개와 활용사례
    최근의 인공지능에서 각광받는 대다수의 기술들은 여러 개의 층들로 이루어진 인공 신경망(ANN)을 사용해 학습한다. 하지만 인공지능에서는 딥러닝 뿐만 아니라, 실제 뇌의 생물학적 메커니즘을 궁극적으로 모방하여 보다 인간에 가까운 인공지능을 개발하는 뉴로모픽(neuromorphic) 기술도 주목받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병렬적으로 연결되어 낮은 에너지로 연산/학습/추론 등을 수행하는 생물학적 뉴런의 동작 방식을 모방하는 뉴로모픽 학습 및 컴퓨팅 기법을 소개하고, 다양한 활용 사례를 살펴본다.
    • 장 혜 령 교수 / 동국대학교

    • - 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전자공학과 학사 (2010)
      - 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전자공학과 석사 (2012)
      - 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전자공학과 박사 (2017)
      - King’s College London, Informatics, UK, 박사후연구원 (2018-2021)
      - 동국대학교 AI융합학부 조교수 (2021-현재)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D3   :   6/21, 15:10~17:00

    초거대 언어모델과 엑소브레인 한국어 AI 기술
    본 발표에서는 GPT-3 이후 초거대 언어모델 연구 결과와 한국어처리 인공지능 기술에 대해 발표한다. 세부적으로 초거대 언어모델 관련하여 OpenAI, DeepMind, Google에서 수행한 최신 초거대 언어모델 연구 결과와 향후 언어모델의 방향성에 대해 소개하고, 한국어처리 인공지능 기술과 관련하여 엑소브레인 과제에서 수행한 한국어 이해생성 언어모델, 소량 학습데이터 기반 언어분석 및 심층 질의응답 기술에 대해 소개한다.
    • 임 준 호 책임연구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2020 ~ 현재 : 엑소브레인 국가 연구개발 프로젝트 총괄책임
      - 2005 ~ 현재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 2016 : 충남대학교 컴퓨터공학 박사
      - 2005 : 고려대학교 컴퓨터학 석사
      - 2002 : 고려대학교 컴퓨터학 학사

      * 주요연구 및 관심분야: 언어이해, 질의응답, 딥러닝 언어모델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E3   :   6/27, 15:10~17:00

    인공지능 주치의(Dr. AI) 기술
    인공지능 기술이 의료분야에 폭넓게 적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성과들이 창출되고 있다. ETRI에서도 심혈관질환을 대상으로 미래건강상태를 예측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는 인공지능 주치의, Dr. AI 기술을 개발하였다. 본 강연에서는 인공지능 기술의 의료분야 적용에 대한 동향을 살펴보고, ETRI에서 개발한 인공지능 주치의, Dr. AI 기술에 대하여 소개한다.
    • 김 승 환 책임연구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학사, 석사, 박사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팀장, 부장, 본부장)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명윤리위원회 위원장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E3   :   6/27, 15:10~17:00

    ICT 기반 스마트 질병진단기술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의 동향과 현황을 살펴보고, 스마트 질병진단 기술에 대한 해외 대표 기술을 소개한다. 스마트 질병진단 기술에 대한 국내 대표 기술 및 기존 국/내외 디지털 병리 기술을 소개하며 관련된 문제점을 공유한다. 펨토초 레이저 기반의 디지털 병리 기술 소개 및 혁신 포인트 소개하며, 마지막으로 디지털 병리 분야에 대한 향후 발전 방향 및 시사점을 공유한다.
    • 김 형 우대표이사 / 주식회사 블루타일랩

    • - 한국과학기술원(KAIST) 지식서비스 공학대학원 석사
      - ‘16년 3월~현재 주식회사 블루타일랩 대표이사
      - ‘12년 3월~’16년 3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구원
      - 前 ETRI 연구원, 스마트 TV연구단, 추천 엔진 및 개인화 검색 엔진 연구
      - ‘13 ETRI 최우수 신입 연구원상 수상
      - ‘14 ETRI 창업 아이디어 경진대회 1위 수상
      - 머신 러닝 분야 국제 저널/학회 논문 5건
      - 머신 러닝 분야 특허 등록 약 10건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E3   :   6/27, 15:10~17:00

    디지털치료제 최신 동향 및 기술 전망
    최근 디지털헬스케어가 새로운 연구 및 개발 영역으로 주목받고 있고, 특히 정신의학에서 시작하여 대사성 질환, 소화기 질환, 노인성 질환까지 그 활용성이 주목받고 있다. 국내에서도 다양한 영역에서 디지털치료제의 개발과 실제연구가 진행이 되고 있어, 디지털치료제의 실제 개발 연구를 함에 있어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 향후 산업 전망에 대해 본 세션에서 다루어 보고자 한다.
    • 신 재 용교수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 [학력]
      - 연세대학교 의학사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 석사
      - 연세대학교 대학원 보건학 박사 (정책 및 관리)

      [경력]
      -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조교수 (2019-2021)
      - Post.doc fellow, Dept. of Policy Analysis & Management, Cornell Univ. (2017-2019)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기초전공의 조교(2014-2017)
      - 신촌세브란스병원 피부과 전공의 (2010-2014)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E3   :   6/27, 15:10~17:00

    스마트의료 산업 활성화 방안
    스마트 의료분야 중 코로나19팬더믹으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다양한 국내외 현황을 살펴보고, 미래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기 위하여 가장 시급한 생태계 전환점 또는 정책이 무엇인가 질문해보고 예측해보고. 또한 이를 산업적 관점에서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 살펴보고자 한다.
    • 김 영 성 그룹장 / 산업통상자원 R&D전략기획단

    • - (現)산업통상자원R&D전략기획단 정책기획팀 팀장
      - (現)서울시 주관 스마트헬스케어 자문단 위원
      - (前)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창의연구소 선임연구원
      - (前)메디슨 선임연구원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F1   :   6/27, 09:00~11:10

    디지털 트윈 기술 K-로드맵
    「디지털 트윈 활성화 전략」(‘21.9.6, 관계부처 합동) 후속 지원의 일환으로 올해 초 발표된 「디지털 트윈 기술 K-로드맵(IITP)」을 기반으로 디지털 혁신 기술인 “디지털 트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기술경쟁력 강화 방안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 정 득 영 책임연구원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2014년~현재 :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디지털융합기획팀 책임연구원
      - 2011년~2014년 :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 차세대방송PM실 주임연구원
      - 2019년 ~ 현재 : 서울대학교 공학박사(수료)
      - 2021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표창
      - 2019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
      - 2017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표창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F1   :   09:00~11:10

    한국판 뉴딜과 디지털 트윈
    코로나19로 인한 세계적인 디지털 대전환 가속화 및 사회 경제 변화에 따른 한국판 뉴딜의 등장 배경과 추진과정ㆍ방향, 디지털 뉴딜 정책 지원을 위한 공간정보 역할 및 이를 활용한 도시 단위 디지털트윈 구현 및 실증 사례를 제시한다.
    • 곽 병 용차장 / 한국국토정보공사 표준품질처

    • - LX 한국국토정보공사 표준품질처 근무 중
      - 서울시립대 공간정보공학과 박사 수료
      - ISOTC211전문위원, TTA PG409전문위원 활동
      - 현재까지 디지털트윈 관련 사업 및 공간정보표준 분야 업무
      - (“2019년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세종·부산) 디지털트윈 사업”, 2020년~2021년 전주시 디지털트윈 구축 사업 등)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F1   :   09:00~11:10

    디지털 트윈을 이용한 지하 인프라 관리
    국민들이 안전하고 편리한 도심지 생활을 위해 지하에 건설된 인프라들을 안전하게 관리하고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초기 및 능동 대응을 통해 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디지털트윈 기반의 지하인프라 관리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 정 우 석센터장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1994.02.– 현재: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안전지능화융합센터 센터장
      - 2021.12. :행정안전부장관표창
      - 2021.10.– 현재:디지털트윈포럼 재난안전분과 분과장
      - 2021.08– 현재:한국급경사지협회 스마트기술위원회 부위원장
      - 2021.05.– 현재:한국재난정보학회 이사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G1   :   6/28, 09:00~10:50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와 검증도구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는 오픈소스를 안전하게 활용하기 위한 기업 내 정책 및 제반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오픈소스의 활용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에 따른 법률적 위험을 알아본다. 각 기업은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검증도구를 활용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활용하고 있는 검증도구 현황을 살펴보고, 자체 개발한 검증도구의 오픈소스 공개 계획을 소개한다.
    • 정 윤 환변호사 / 삼성전자

    • - 2012년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졸업
      - 2012년 제1회 변호사시험 합격
      - 2012년~ 삼성전자 오픈소스그룹 근무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G1   :   6/28, 09:00~10:50

    오픈소스 관리 서비스 ‘OLIVE Platform’
    카카오에서 제공하는 오픈소스 관리 서비스 OLIVE Platform(올리브 플랫폼)을 소개합니다. 올리브 플랫폼은 프로젝트를 분석하여, 사용된 오픈소스의 라이선스 및 의무사항을 확인하고 리포트를 제공하는 오픈소스 관리 서비스입니다. 깃허브(Github) 연동이나 파일 업로드를 통해 프로젝트를 추가할 수 있고, 보안상 웹서비스 사용이 어렵거나 소스코드 노출이 우려되는 경우 사용자 PC의 터미널에서 올리브 플랫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CLI(Command Line Interface) 도구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카카오가 서비스를 검증하며 쌓은 오픈소스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고,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추가하여 “더 쉽고, 빠르고, 정확한 오픈소스 검증”이 가능합니다.
    • 황 은 경파트장 / 카카오

    • - 카카오 / 오픈소스기술파트 파트장
      - 제주대학교 / 컴퓨터공학과 겸임교수
      - (전) Daum / 회원플랫폼팀 팀장, 개발리더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G1   :   6/28, 09:00~10:50

    오픈소스를 관리하는 오픈소스 ‘FOSSLight’
    오픈소스를 관리하는 오픈소스인 FOSSLight 프로젝트의 오픈소스 스캐너와 통합 관리 시스템인 Hub를 소개합니다. FOSSLight Scanner는 소스 분석, 바이너리 분석, 디펜던시 분석 등을 수행하고, FOSSLight Hub는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를 위한 라이선스 관리, 보안취약점 관리, 외부 유입 소프트웨어 관리, Software Bill Of Materials 관리 등 오픈소스의 모든 것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 김 경 애Open Source Task Leader / LG전자

    • - LG전자 CTO SW센터 SW공학연구소 Open Source 태스크 리더
      - FOSSLight 오픈소스 프로젝트 리더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H1   :   6/28, 09:00~10:50

    재난 예경보시스템의 이해
    재난안전법 제38조의2에 따라, 지자체에서 구축 운영하고 있는 ‘재난 예경보 시스템’ 과 예경보 장비의 발송체계, 서비스 내용, 발전방향 등을 발표한다.
    • 김 경 희 과장 / 행정안전부

    • - 행정자치부 재해대책과(1998~2003)
      - 소방방재청 정보화담당관실(2004~2013)
      - 국민안천처 감사담당관실, 재난대응정책과(2014~2016)
      - 행정안전부 재난구호과, 기후재난대응과(2017~2020)
      - 現 행정안전부 재난정보통신과(2021~)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H1   :   6/28, 13:00~14:50

    국가위기관리와 긴급재난경보
    현대사회는 ‘재난경보’와 함께 살아가야 하는 ‘경보사회(Alert Society)’가 되었다. 우리는 울리히 벡(Ulrich Beck)이 말하는 위험사회(Risk Society)의 단계를 넘어 한층 더 위험한 ‘재난경보사회(Disaster Alert Society)’에 살고 있다. ‘경보사회’란 ‘매일매일 일상적인 우리 삶 속에서 재난경보가 상시화 된 사회’를 말한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북한의 ICBM 발사, 강원 울진 속초의 대형 산불 등등 긴급한 국가 위기상황 속에서 전달되는 재난경보는 우리들의 삶의 터전을 지켜줄 수 있는 최후의 보루이다. 이처럼 현대인들은 경보가 상시화 된 ‘경보사회’에서 국가나 국민의 안위를 책임진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는 이러한 국가적인 대형재난에 국민들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재난경보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 이    연명예교수 / 선문대학교

    • 현 (사)한국재난정보미디어포럼 회장, 재난방송중앙협의회 위원, 재난안전관리평가 중앙위원, 재난방송 과징금 평가위원, 선문대학교 교수, 사회과학대학장, 중앙도서관장, 행정대학원장 등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H1   :   6/28, 13:00~14:50

    지상파 재난경보 서비스 현황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자연재해, 감염병, 화재 등으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여러가지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번 발표에서는 그 중에서 기존 재난방송 및 재난문자 등을 보완할 수 있는 지상파 UHD 재난경보 서비스 개요와 필요성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그리고 서비스 시스템 구조와 서비스 현황에 대해서도 간략히 설명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향후 재난방송의 발전방향에 대해서 같이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지고자 합니다.
    • 이 만 규수석연구원 / KBS

    • - 1995 KBS 기술연구소 입사
      - 2014 ~ 2018 KBS 스마트미디어 연구팀 팀장, 디지털서비스 개발팀 팀장
      - 2019 ~ 2021 KBS 미디어기술연구부 부장
      - 2022 ~ 현재 KBS 재난방송연구팀 수석연구원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H1   :   6/28, 13:00~14:50

    지원이 필요한 지역밀착형 재난방송
    예고 없이 발생하는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재난방송 운영기관으로 케이블TV 지역채널의 역할이 중요하다. 특히 전국적 재난이 아닌 국지적 재난이 발생했을 경우 지상파보다는 지역채널이 즉시 대응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실제로 2019년 4월 발생한 강원산불의 경우 CJ헬로(현 LG헬로비전)가 KBS에 비해 훨씬 신속하고 적극적인 재난방송을 실시했다. 국지적 재난에 효율적 재난방송이 가능한 지역채널이기에 CCTV와 재정지원 등 정부와 관계기관의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
    • 윤 경 민보도국장 / LG헬로비전

    • - 건국대 일어교육학과 졸업
      - 한국외국어대 정치행정언론대학원 졸업
      -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박사과정
      - YTN 기자, 도쿄특파원, 정치부 차장
      - 채널A 국제부장, 문화과학부장
      - CJ헬로비전 보도국장
      - LG헬로비전 보도국장 (현)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I1   :   6/28, 09:00~10:50

    On-Device vs. Cloud offloading? Enabling Highly Interactive Mixed Reality Systems
    In this talk, I will speak about our ongoing research efforts to build highly interactive mixed reality applications. I will first talk about the pros and cons of the two different approaches, i.e., on-device and cloud offloading, in designing and implementing such systems. Then, I will present two specific on-device solutions, (i) FlexPatch to accelerate object detection workloads on continuously streaming video data and (ii) Band to serve concurrent DNN workloads using heterogeneous mobile processors
    • 이 영 기부교수 / 서울대학교

    • Youngki Lee is an associate professor in the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Department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e received his PhD in 2012 from the computer science department in KAIST, Korea, and worked at Singapore Management University till 2018. He has broad research interests in building experimental and creative software systems, which involve multi-dimensional considerations across operating systems, applications, and users. Recently, he has been actively developing edge AI and mixed reality systems to address core technical challenges such as concurrency, energy efficiency, and recognition accuracy. He published a stream of his work in top-tier conferences and journals such as ACM MobiSys, ACM MobiCom, ACM SenSys, ACM UbiComp, IEEE TMC. He has also been serving on technical program committees and organizing committees of such conferences including program co-chairs for UbiComp 2018. More details about him are available at http://youngkilee.blogspot.com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I1   :   6/28, 09:00~10:50

    Photo-realistic 메타버스 구현을 위한 3D 모델링 및 렌더링 기술의 원리
    본 발표에서는 각종 AR/VR 어플리케이션에서 주로 활용되는 3차원 표현 방법 및 렌더링 방법 및 최신 기술을 소개하고 한계점과 가능성을 진단한다. 크게 1) 텍스쳐 (texture) 이미지를 단순한 형상에 오려 붙인 형태로 사용하는 방법, 2) 점군 (pointcloud)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 그리고 3) 3차원 볼륨 데이터를 활용하는 간접적 표현 방법의 세 가지를 중심으로 방법론과 한계점을 정리한다. 이후 앞으로 3차원 공간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기술적 과제들을 언급하며 마무리하고자 한다.
    • 김 영 민조교수 / 서울대학교

    • - 2013~2015 Research Scientist,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IST)
      - 2015~2019 Senior Research Scientist,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IST)
      - 2016~2018 Visiting Researcher,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 2019~current Assistant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I1   :   6/28, 09:00~10:50

    AR/VR을 위한 Display Solution
    Metaverse를 대표하는 AR/VR 시장에 대해 짚어보고, 이러한 AR/VR 구현을 위한 요소기술과 System 구조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현재까지 개발된 Display 들 중 이러한 AR/VR에 가장 적합한 디스플레이라고 생각되는 OLEDoS의 핵심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 양 준 영상무 / LG 디스플레이

    • Joon Young YANG, Ph.D. joined LG Electronics at 1995 and had been a team leader at LG Display for 9 years with TFT process, devices and panel designs. Since 2016, YANG positioned a head of advanced research div. with responsibility of OLED device, transparent OLED panel, flexible OLED panel, and OLEDoS panel.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J1   :   6/28, 09:00~10:50

    Automated Vehicle Safety, Cybersecurity Principal and Strategy Implementation Concept
    자율주행 차량의 발전에 맞춰 차량 및 부품개발단계에서 자율주행 관련 전기전자 제어시스템에 요구되는 안전과 보안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ISO TC22 SC32 WG13에서 자율주행 3레벨 이상의 차량에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안전과 보안 기술의 기본적인 원칙을 정의하고, 개발된 부품이나 차량의 Verification, Validation 관점의 전략을 수립하여 차량의 안전을 확보하고자 한다. ISO 5083 표준 대응 전략 및 적용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발에 적용할 방법을 소개한다.
    • 김 정 기 부사장 / 씨엔비스㈜

    • - 현 씨엔비스㈜ 부사장
      - ASPICE Principal Assessor (Cybersecurity)
      - VDA Qualified Expert on ACSMS
      - ISO TC22 SC32 WG11,WG13 Expert Member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J1   :   6/28, 09:00~10:50

    레벨 4 이상 자율 주행 서비스를 위한 5G-NR V2X 통신 기술
    자율주행을 위한 C-V2X 기술 필요성을 소개하고 국내 C-V2X 시범/실증 사업 현황을 다룬다. 아울러 5G-NR V2X 기술의 필요성 및 국내(외) 현황과 향후 미래 자동차 구조에서의 V2X 기술 접목 방안을 다룬다.
    • 남 승 현전무 / ㈜라닉스

    • - 현재 (주)라닉스 연구소장(2017~)
      - 연세대학교 전자공학과 박사(1995)
      - 스마트카 미래포럼 운영위원M
      - 자율협력주행 산업발전협의회 보안분과 위원
      - 5G 포럼 회원
      - 대우전자 책임연구원(1986~1999)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J1   :   6/28, 09:00~10:50

    정밀도로지도 기반 Lv4/4+ 시뮬레이터 소개
    자율주행 차량의 상용화를 위해 시스템에 대한 안정성을 평가하고 입증하는 것이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자율주행 기능이 고도화되면서 차량의 부품 및 소프트웨어가 점점 복잡해지고, 다양해짐에 따라 현실 세계에서의 평가 및 검증이 필요하다. 가상 시뮬레이터는 현실과 유사한 정밀도로지도 기반의 디지털트윈 환경 및 자율주행센서(카메라, 라이다, 레이더 등)를 가상화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다양한 시나리오(국내/외 표준 시나리오, 비정형 시나리오 등)를 대규모로 생산하여 활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동역학, 물리 센서, 교통류 등)에서의 시뮬레이터 도구들도 높은 수준으로 개발되어지고 있으며, 이들과의 연동을 통해 자율주행 시스템 검증을 보다 완벽하게 진행할 수 있다.
    • 정 지 원대표이사 / (주)모라이

    • - 現 ㈜모라이 대표이사 (2018.04 - 현재)
      - 前 한라대학교 기업전문교수(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2020.08 - 2021.08)
      - 한국과학기술원 항공우주학과 박사수료 (2018.03)
      - 한국과학기술원 항공우주학과 석사 (2014.03)
      - 세종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학사 (2012.03)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J1   :   6/28, 09:00~10:50

    자율주행 실도로 실증데이터 수집사례
    전세계적으로 대규모 자율주행 실증 시대가 시작되고있다. 단순히 1~2대 차량의 시범서비스나 테스트가 아닌 100대 이상의 자율주행 플랫폼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업들이 나타나고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은 자율주행 차량을 운용하면서 실도로 실증 데이터를 수집중인 오토노머스에이투지 사례를 자세히 설명한다.
    • 유 병 용본부장 / 오토노머스에이투지

    • - 오토노머스에이투지 기술이사 (2018.7~현재)
      - 경일대학교 기계자동차학부 교수 (2017.3~현재)
      - 현대자동차 중앙연구소 책임연구원 (2010.2~2017.2)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G2   :   6/28, 13:00~14:50

    QKD 연동 비화통신 및 1:N QKD 활용 스마트팩토리 구축 사례
    본 발표에서는 양자 암호키 분배 장치를 이용하여 보안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용 사례에 대해 살펴본다. 첫번째로 양자 암호키를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암호화 하는 비화통신 장비 및 QKD 연동 구축 사례를 통해 QKD의 다양한 적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두번째 적용 예로, 1:N QKD 장비를 이용한 스마트팩토리 구축 사례를 통해 QKD 네트워크 구축 방안을 모색해 본다.
    • 신 정 환책임 / KT

    • - 2017년 ~ 현재 KT 융합기술원 책임연구원
      - 2016년 ~ 2017년 고려대학교 스마트 양자 통신 연구 센터 연구교수
      - 2013년 ~ 2015년 USC visiting scholar
      - 2012년 고려대학교 전기전자컴퓨터공학 박사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G2   :   6/28, 13:00~14:50

    블록체인과 양자통신기반 실손보험 무결성 통신 사례
    실손보험 청구를 위해 개인정보가 포함된 의료기록을 보험사에 제출하여야 하고, 보험사는 청구인이 제출한 의료기록의 진위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이러한 정보의 유통에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자료의 발급과 제출기록을 확인하고, 의료기록의 안전한 전달을 위해서 양자암호통신을 활용한다.
    그 외에 블록체인과 양자암호를 적용한 해외 사례를 소개한다.
    • 김 민 형이사 / IDQ

    • - 1996년 LGCNS 입사(PKI, SSO, 스마트카드, 정보보호 컨설팅업무)
      - 2003년 SK텔레콤 입사(WPKI, DRM, 금융 USIM, Mobile Payment)
      - 2007년 3G 통신, 금융 통합 USIM 개발 및 서비스 출시
      - 2010년 북경대 MBA 졸업
      - 2010년 SK텔레콤 Quantum Tech. Lab(국산알고리즘 10G/100G Encryptor 개발, QKD 운영시스템, KMS 개발, QKD 표준화)
      - 2018년 ID Quantique 입사(KMS 개발, QKD, KMS 운영시스템 개발, QKD 표준화)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G2   :   6/28, 13:00~14:50

    KREONET 기반 양자암호통신망 연구 현황 및 적용 사례
    양자키 분배(QKD)는 양자컴퓨터 위협에 대응하여 양자 역학의 구성 요소와 관련된 암호화 프로토콜에 기반한 안전한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표에서는 과학기술연구망(KREONET)에서 QKD 기반의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 연구를 시작한 배경과 양자암호통신망 구축 운영 사례에 대하여 살펴본다. 그리고 KREONET 기반 양자암호통신망 연구 추진 방향과 이에 따른 QKD 프로토콜, 양자키 관리, 양자키 서비스 측면에서의 연구 현황에 대하여 소개한다.
    • 김 용 환연구원 / KISTI

    • - 2010.8 ~ 2015.8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컴퓨터공학과 박사
      - 2014.3 ~ 2014.8: 뉴욕주립대(SUNY) 컴퓨터학과 방문 연구원
      - 2016.2 ~ 현재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연구원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H2   :   6/28, 15:10~17:00

    기후위기를 막기 위한 에너지 AI
    현재의 지구는 기후변화를 넘어서 기후위기를 맞고 있으며 그로 인해 인류는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해야 하는 절대절명의 상황이다. 이에 화석연료 대신 재생에너지 공급이 매우 늘어났으며 그로 인해 발전의 불확실성 또한 매우 증대되었다. 그에 따라 에너지 데이터를 수집/분석하고, 에너지 AI 기술을 활용하여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보다 잘 예측하고, 딥러닝을 사용하여 재생에너지 시장에서 입찰을 하고, BESS의 건강상태를 잘 추정하며, 이를 바탕으로 전력망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연구 등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본 강연에서는 이러한 최신 연구동향/결과에 대해 살펴본다.
    • 김 홍 석교수 / 서강대학교

    • 1998년 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 학사
      2000년 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 석사
      2009년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Ph.D.
      2010~2011년 Bell Labs, Murray Hill, NJ, Member of Technical Staff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H2   :   6/28, 15:10~17:00

    Digital Agenda for Sustainable Carbon Neutrality
    본 발표에서는 기후변화 대응,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여러 과정과 방도 탐색에 있어서, D.N.A.(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그리고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등의 ICT 기술에 대한 역할과 전망에 대한 아젠다를 살펴보고자 한다. 현재의 디지털 탄소중립에 대한 현황을 소개하고, 추후 연구개발 이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탄소중립 기술혁신의 방향성과 에너지 트릴레마와 현안에 대해 지능형 디지털 전환 관점에서 플랫폼 기술 요소들을 짚어보고자 한다. 에너지/환경 문제는 경제/사회시스템의 패러다임 변화와 연결되어 있음에 이에 따른 탄소중립 과정에서의 이슈들도 아울러 짚어보고자 한다.
    • 이 일 우단장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19.07. ~ 현재 ETRI 에너지·환경ICT연구단 단장
      - ’09.08. ~ ’19.06. ETRI 그린IT전문위원, 스마트그리드기술연구팀장, 에너지ICT연구실장
      - ’21.02. ~ 09. 범부처 탄소중립 기술혁신 추진전략 위원회 분과위원장
      - ’19.11. ~ 현재 한국통신학회 에너지 소사이어티 회장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H2   :   6/28, 15:10~17:00

    AI플랫폼 기반 생산소비거래 최적화
    정통적인 에너지 산업에서 ICT가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 크지는 않다. 또한 국가 에너지 정책이나 산업구조에 따라 digitalization생태계 조성이 제한적일 수 있으나 향후 탄소중립이 가속화되는 환경에서 에너지ICT가 가지는 잠재력은 매우 크다고 생각된다. ICT기업 입장에서 플랫폼과 data기반으로 신재생 생산관리 및 소비단에서의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을 위한 사업기회를 발굴하고 추진했던 사례중심으로 탄소중립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자 한다.
    • 한 자 경상무 / ㈜케이티

    • - KT선로기술연구소 공채입사 후 비파괴안전진단 분야연구(1996~2003)
      -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사업 실무총괄(2010~2013)
      - KT MEG기반 KT에너지 사업 R&D총괄(2015~2019)
      - ESG, 바이오헬스, Robot분야 디지털전환 및 플랫폼 기술 개발(2020~)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I2   :   6/28, 13:00~14:50

    볼류메트릭 비디오 처리 및 스트리밍 시스템
    최근 메타버스 서비스가 활발히 시장에 소개되면서 실사영상을 가상 공간에서 처리하기 위한 볼류메트릭 비디오(Volumetric Video) 기술이 활발히 연구/개발되고 있습니다. 한 예로 국제 비디오 표준화 단체에서는 MPEG-Immersive Video(MIV) 기술을 선보이고, 더 나아가 VMesh 기술 등으로 영상처리 기술과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들을 통합하여 표준화까지 진행하고 있습니다. 본 강연은 MIV 기술을 중심으로 이러한 기술들의 큰 흐름과 요소 기술들을 설명하고 이를 스트리밍하는 응용사례를 소개합니다.
    • 류 은 석교수 / 성균관대학교

    • - 2019.09 ~ 현재: 성균관대학교 컴퓨터교육과 부교수
      - 2015.03 ~ 2019.08: 가천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조교수
      - 2014.03 ~ 2015.02: 삼성전자 수석연구원/파트장
      - 2011.01 ~ 2014.02: InterDigital Labs, Staff Engineer
      - 2008.09 ~ 2010.12: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Research Scientist
      - 1994.03 ~ 2008.02: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학사, 석사, 박사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I2   :   6/28, 13:00~14:50

    메타버스 플랫폼과 콘텐츠 관점에서의 초실감 3D 콘텐츠 렌더링 기술
    다양한 메타버스 플랫폼이 출현하고 있다. 실시간 게임엔진 관점의 메타버스 플랫폼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전통적 오프라인 3D/다면시각 렌더링 방식들도 메타버스 콘텐츠 제작에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소비자 관점에서의 메타버스 플랫폼, 그리고 콘텐츠 관점에서 실감할 수 있는 콘텐츠 렌더링 기술 추세에 대해 발표하려 한다.
    • 박 기 주이사/CTO / ㈜위지윅스튜디오

    • - 위지윅스튜디오(2020.06 ~ ), 이사(CTO), Research Lab
      - 매크로그래프(07.04 ~ 20.03) 이사(연구소장)
      - 한국전자통신연구원(00.08 ~ 07.04): 선임연구원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I2   :   6/28, 13:00~14:50

    실가상 공간에서의 휴먼 인터페이스를 위한 휴먼 복원 기술
    실가상 공간에서는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전통적인 인터페이스 기기를 사용하기 어렵다. 이 경우 사용자의 자세나 동작이 대안이 될 수 있다. 영상으로부터의 3차원 휴먼 복원 기술은 컴퓨터 비전의 핵심 문제 중 하나로 딥 러닝으로 인해 최근 크게 발전하였다. 본 강연에서는 실가상 공간에서의 인터페이스로 활용될 수 있는 최신 휴먼 복원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 장 주 용교수 / 광운대학교

    • - 2008.02~2009.01: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MERL) Postdoctoral Researcher
      - 2009.04~2011.01: 삼성전자 DMC 연구소 책임연구원
      - 2011.04~2012.02: 서울대학교 BK 조교수
      - 2012.03~2017.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임연구원
      - 2017.03~현재: 광운대학교 전자통신공학과 교수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J2   :   6/28, 13:00~14:50

    UAM 운용개념 및 CNS
    UAM의 개요 및 발전 단계를 살펴 보고, 운항항로(corridor), 참여주체별 역할 등을 포함한 운용개념을 설명한 후, 안전한 UAM 운용을 위해 필요한 통신(Communications). 항법(Navigation), 감시(Surveillance) 기술에 대해 소개한다.
    • 안 재 영 단장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2017~현재) ETRI 자율무인이동체연구단장
      - (2014~2016) ETRI 위성항공ICT연구부장
      - (2002~2013) ETRI 무선전송방식연구팀장/이동통신방식연구실장
      - (2000~2001) ETRI 무선LAN연구팀장
      - (1994~1999) 위성멀티미디어연구팀장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J2   :   6/28, 13:00~14:50

    버티포트 인프라 시스템
    도심항공교통(UAM)을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도시의 하늘길을 날아다닐 전기동력 수직이착륙 항공기체인 eVTOL만큼이나 지상 인프라인 UAM 이착륙장이 함께 잘 준비되어야 한다. 하지만, UAM 이착륙장 입지선정에는 해결해야 하는 복합적인 문제가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UAM 이착륙장 입지선정에 영향을 미치는 복합적인 문제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UAM 이착륙장 입지선정 요인을 도출하고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 등 UAM 이착륙장 최종 입지 선정에 필요한 방안을 제시한다.
    • 정 민 철부장 / 한국공항공사

    • - 한국항공대 경영학 박사
      - `12~ 기획조정실 차장
      - `19~ 경영전략부 부장
      - `20 ~ 도심공항혁신추진 부장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J2   :   6/28, 13:00~14:50

    UAM 산업화: 기업차원 경쟁이 아닌 국가차원 경쟁ㅡ선도국과 차별화된 대전략 가능성
    UAM은 산업/사회/국방 부문의 거대한 변화를 예고하고 있지만, 국가단위 전략의 수월성이 아니고는 개별 대기업/정부 차원에서 아무리 거대한 투자를 하더라도 넘기 어려운 특성이 뚜렷하다. 첨단산업 육성에 있어서 국가 차원 대전략적 수월성이란 개념과 논의는 그동안 존재하지 않았다. 우리나라가 그동안 성공경험을 보유한 자동차, 반도체, IT 산업과는 판이하게 다른 항공산업의 고유한 속성을 소개하고, 우리 고유의 지정학적 여건에 부합하는 차별화된 UAM 대전략의 가능성 및 관련 이슈와 문제의식을 공유하고자 한다.
    • 안 오 성책임연구원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 책임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2 ~)
      - 미래전략부장,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9~ 2021)
      - 정책연구소장, 출연연과학기술인총연합회 (2019)
      - 융합연구부장,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18)
      - 과학기술기반 전문위원, 대통령직속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017)
      - 항공기획실장,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4~2015)
      - 연구기획조정실장,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3~2014)
      - 주력산업 전문위원, 지식경제부 R&D 전략기획단 (2012)
      - 선임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02~ 2012)
      - 선임과장, ㈜ 한국항공우주산업, T-50 개발센터 (1998~2002)
      - 과장, ㈜ 삼성항공산업, 중형항공기 개발센터 (1994~1998)
      - 박사(수료),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수료시점, 2019.2)
      - 학사/석사, 서울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졸업 (1992/1994)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F3   :   6/27, 15:10~17:00

    모바일 기술이 견인하는 전통산업의 디지털 변혁
    5G가 3G/4G 등 이전 세대의 모바일 기술과 다른 점은 전통산업에 본격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5G는 XR, 메타버스 등 새로운 산업을 창출할 뿐만이 아니라 제조, 교통, 의료, 에너지 등의 기존 전통산업에 적용되어 혁신을 가속화하고 생산성을 개선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5G 망으로 대표되는 새로운 시도가 어떻게 시장의 변혁을 가져올 수 있을지 예측해 본다.
    • 이 현 우교수 / 단국대학교

    • - 현 단국대 교수
      - 전 지식경제부 차세대이동통신 Program Director
      - 전 삼성전자 통신연구소 수석연구원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F3   :   6/27, 15:10~17:00

    무선 AI 공장을 위한 연합/분할 학습 기법 실증
    이 강연은 우리나라 스마트공장 도입의 현황을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한다. 특히 ML/AI가 5/6G 통신과 결합되어, 스마트공장에 적용되었을때, 어떻게 URLLC (초저지연 신뢰) 서비스를 할지를 소개한다. ML/AI의 주요 계산을 연합/분산처리를 어떻게 하고, 이 과정에서 통신망은 유/뮤선으로 어떻게 설계되고 이를 통해, TSN (Time-Sensitive Networks)가 어떻게 접목될지를 소개한다.
    • 김 성 륜교수/ 연세대학교

    • -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 Aalto, Kyoto 대학교 방문 교수
      - 스웨덴 KTH 조교수
      - IEEE Trans VT, Elsevier Control Engineering Practice, IEEE ComLett, IEEE JSAC, IEEE Networks, IEEE Wireless Commun.등 주요 논문지 부편집 및 객원편집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F3   :   6/27, 15:10~17:00

    핀테크 데이터와 AI 기술을 통한 생활금융 플랫폼 전략
    핀테크 비즈니스 환경에서, 데이터기반 핀테크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전략을 소개드리고, 비대면 생활금융 플랫폼 서비스를 위한 인공지능 기술 적용 전략과 사례를 공유드립니다.
    • 김 홍 수실장 / 카카오페이

    • - 고려대학교 컴퓨터학 박사
      - 삼성전자 소프트웨어 센터 책임연구원
      - SK플래닛 ML 엔지니어
      - 카카오페이 데이터실 실장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G3   :   6/28, 15:10~17:00

    양자컴퓨팅 시스템 기술개발
    양자컴퓨터는 지난 20여년간 눈부신 발전을 해 왔으며, 현재 다수의 기업들이 클라우드 형태로 하드웨어를 제공하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는 단계에 있다. 본 강연에서는 양자컴퓨팅 시스템 기술의 현황을 요약하고, 우리의 상황에서 어떤 전략으로 접근해야 하는지 제시해본다. 또한 국내외의 연구개발 생태계에 대한 리뷰를 제시한다.
    • 정 연 욱교수 / 성균관대

    • - 1999 서울대학교 박사 (이학박사, 물리학)
      - 1996-1997 Forschungszentrum Juelich 방문연구원
      - 2002-2005 NIST Boulder 박사후 연구원
      - 2005-202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선임/책임 연구원
      - 2020-현재 성균관대학교 SAINT 교수
      - 2020-현재 양자정보연구지원센터 센터장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G3   :   6/28, 15:10~17:00

    포획된 이온을 이용한 양자 컴퓨터 개발과 전망
    양자 컴퓨터는 수퍼 컴퓨터의 한계를 뛰어 넘는 다양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현재 이론적으로나 실험적으로 진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양자 컴퓨터의 실현을 위해 다양한 플랫폼에서 경쟁하며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 포럼에서는 저희가 개발하고 있는 이온 트랩장치를 중심으로 지금까지 전세계적인 개발 현황과 앞으로 발전 전망을 논의합니다. 또한 중국에서의 양자 컴퓨터 연구의 동향에 대해서도 간단히 소개합니다.
    • 김기환교수 / 칭화대

    • Education
      - 1998-2004 Ph. D., Phys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 1996-1998 M. S., Phys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 1992-1996 B. S., Phys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Appointments
      - 2016- Tenured Associate Professor, Tsinghua University
      - 2011- 2016 Associate Professor, Tsinghua University
      - 2008- 2011 Postdoctoral Fellow, University of Maryland
      - 2005- 2007 Postdoctoral Fellow, Innsbruck University
      - 2004- 2005 Postdoctoral Researcher, Seoul National University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G3   :   6/28, 15:10~17:00

    QDC 및 Wireless QKD 기술 동향과 전망
    본 발표는 양자 인터넷 세상의 실현을 위한 기술 및 전망을 소개하고자 한다. 먼저, 유선 QKD와 달리, 무선 QKD 시스템을 위한 넘어야 할 문제점 및 기술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양자 정보를 키로 사용하는 것을 넘어, 데이터 통신에 직접 활용하는 QDC 기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무선 QKD 및 QDC를 기반한 양자 인터넷 시스템 및 6G에서의 QKD의 활용 전망을 살펴본다.
    • 이 상 림리더 / LG전자

    • - 2020 ~ 현재: LG전자 CTO 6G 선행 R&D 프로젝트 리더
      - 2014 ~ 현재: LG전자 CTO 책임연구원
      - 2013 ~2014: 고려대 박사후연구원
      - 2010 ~2013: 고려대 전기전자전파공학부, 공학박사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H3   :   6/28, 15:10~17:00

    인공지능 기술의 국방활용 전망과 전략
    모든 공공서비스, 산업분야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경영효율성, 생산효과성을 증대시키려는 노력과 관심이 지속되고 있다. 국방분야에서도 급변하는 안보환경의 변화에 발맞춰 국방경영의 효율화와 기존 전투력의 향상 또는 새로운 전투력을 창출하기 위해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고자 관련 조직의 신설, 자체 연구역량 강화, 산∙학∙연 협력체계 구축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본 강연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추세를 고려하여 국내외 국방분야에서 인공지능 기술의 활용사례와 적용 계획 등을 살펴보고 국방 분야의 특성을 고려하여 인공지능 기술의 활용 전망과 추진 전략에 대해서 논한다.
    • 이 종 관교수 / 육군사관학교

    • - 육군사관학교 전자공학과 학사
      - 한국과학기술원 전기 및 전자공학과 석사
      - 아주대학교 NCW(네트워크중심전)공학과 박사
      - 육군 제2보병사단 정보통신대대장
      - 육군사관학교 컴퓨터과학과 교수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H3   :   6/28, 15:10~17:00

    5G 기반 증강현실 통합지휘통제플랫폼 소개
    이번 발표에서는 2019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원을 받아 육군사관학교 주관의 컨소시엄에서 개발한 “5G 기반 증강현실 통합지휘통제플랫폼”에 대해 소개하고, 그 활용방안을 제시한다. 5G 기반 증강현실 통합지휘통제플랫폼은 5G 네트워크가 제공하는 초고속, 초저지연, 대용량 데이터 전송 특성과 증강현실(AR) 기술이 제공하는 생생한 현실감(reality)을 결합해 다양한 상황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휘통제플랫폼이다. 제안된 통합 지휘통제플랫폼을 활용하면 현장과 지휘소의 인원들 모두가 동일하고 정확한 상황인식(Situational Awareness, SA) 하에서 효율적이고 성공적인 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
    • 신 규 용교수 / 육군사관학교

    • - 2016.03. ~ 2018.11. : 육군사관학교 교수부 컴퓨터과학과 학과장
      - 2016.11. ~ 현 재 : 육군사관학교 컴퓨터과학과 교수
      - 2021.01. ~ 현 재 : 육군사관학교 교수학습개발원장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H3   :   6/28, 15:10~17:00

    국방 지상무인체계 자율주행 기술
    2000년 초반 미래 전장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핵심 전력 중 하나로 평가받았던 무인/자율 기술은 인공지능 기술의 비약적 발전, 병력자원 감소와 비정형의 군사위협 증가로, 유무인 시스템 협업을 통한 임무 효율성 향상 등으로 인해 다시 한번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지상 무인/자율 기술은 병사나 기존 유인체계를 대신하여 자율주행 및 탐사, 감시 및 정찰, 물류수송, 부상자 구난 등 복잡한 임무를 수행한다. 본 강연에서는 이러한 지상무인체계에 적용되는 자율주행기술로서 기 확보된 정보와 센서 정보를 활용하여 주변상황을 인식하는 기술,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자율판단 기술, 안정적 플랫폼 기동을 위한 제어 기술 및 군 유인체계와의 복합 임무수행을 위한 협업 운용 기술 등 주요 핵심기술에 대해 소개하며, 다양한 적용사례를 제시한다.
    • 김 준 팀장 / 국방과학연구소

    • - 2005.2 국방과학연구소 입소
      - 2006.9 ~2012.11 “네트워크 기반 다목적 견마형 로봇 기술개발”
      - 2018.2 경북대학교 전자공학과 박사
      - 2019.10~현재 국방과학연구소 지상기술연구원 2부 2팀장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I3   :   6/28, 15:10~17:00

    스마트한 도시의 메타버스 기술 활용 방안
    지방정부는 어떻게 스마트한 도시운영을 할 수 있을까요? 촘촘한 로컬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다양한 도시문제를 예측하고 미리 예방해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좋은 방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시민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방대한 로컬데이터와 디지털트윈·메타버스 등 시대가 요구하는 다양한 신기술과 잘 융합해 시민이 더 편리하고, 안전하고, 건강한 스마트도시를 운영하는 것이 4차산업혁명시대를 관통하는 핵심가치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스마트 도시에서 어떻게 신기술에 대응하고 메타버스 기술 활용방안을 인천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찾아보겠습니다.
    • 조 기 웅 스마트 GIS 팀장 / 인천광역시청

    • - 한국국토정보공사 근무(1994)
      - 인천광역시(1996 ~현재)
      - 현)인천광역시 기획조정실 스마트GIS팀장
      - 현)단국대학교 데이터기반서비스공학과 석사과정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I3   :   6/28, 15:10~17:00

    건설 메타버스로 구현되는 긍정의 건설세상
    4차 산업혁명을 맞이하는 대부분의 산업분야는 디지털전환을 통해 새로운 세상으로 도약하고 있지만, 건설산업 분야는 상대적으로 3D업종의 고정관념과 건설사고, 부정부패 등과 같은 부정적인 이미지가 지배적인 실정이다. 이는 인프라시설이 대부분 B2G, B2C 영역이라 정보가 공개되지 않는 점에 기인하는 바가 있다. 일반인들도 쉽게 충분한 정보를 이해할 수 있는 실감형의 가시화된 정보가 필요한 이유이다. 이를 통해 우리 생활에 긴밀한 영향을 미치는 인프라시설에 대한 국민들의 공감대와 이해를 증진하는데 건설 메타버스는 크게 공헌할 수 있을 것이고, 지금 우리가 우리 기술로 구현함으로써 전 세계 인프라건설 시장에 진출하는 중요한 기술이 될 것이다.
    • 정 태 원부사장 / 한맥기술

    • - 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졸업
      - 대우건설 – 인프라건설산업의 공사분야 근무
      - ㈜유신 – 인프라건설산업의 설계분야 근무
      - [현] ㈜한맥기술 – 인프라건설산업의 디지털전환을 위한 연구 개발
      - [현] 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겸임교수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I3   :   6/28, 15:10~17:00

    5G, 확장현실 메타버스 기반 현실가상융합기술로 도시공간 안전사고 예방과 관리효율화 실현
    확장현실을 이용한 지하시설물의 효율적 관리방안과 적용 사례 및 문제점, 디지털트윈 기반 산업 안전 사고예방 방안과 적용 사례 및 문제점 등을 소개한다. 디지털 트윈 기술과 확장현실 기술을 활용한 현실 공간 기반 소방훈련 방안과 공공 건출물 화재 안전대응을 위한 DB구축 프로세스 및 사례, 활용 방안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국가 산업단지 3차원 공간정보 디지털트윈 및 적용 및 활용 방안을 소개한다.
    • 노 진 송대표이사 / ㈜익스트리플

    • - 네오시스 CTO 역임 2001.10~2006.03
      - 경남대학교METEC(문화콘텐츠진흥원지정) 강사 2004.06~2004.10
      - (주)가온(문화콘텐츠진층원지정 주관사업자) 강사 2004.06~2004.10
      - 프리랜서 2006.04~2007.07
      - ㈜아소 정보통신 사업본부 부장역임 2007.08~2009.02
      - ㈜익스트리플 대표 이사 2009.02~현재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I3   :   6/28, 15:10~17:00

    안전한 메타버스 환경을 위한 디지털 인증 수단
    메타버스 환경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슈에 대하여 디지털 인증 (Identification, Authentication)의 필요성과 향후 발전방향을 소개한다.
    • 이 재 성팀장 / 한국인터넷진흥원

    • - 2011 ~ 2012 정보보호 안전진단 제도 운영 및 영세IT기업 지원(KISA)
      - 2013 ~ 2018 정보보호 관리체계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제도 운영 업무(KISA)
      - 2019 ~ 202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운영(KISA)
      - 2022 ~ 현재 디지털서명인증 업무 수행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J3   :   6/28, 15:10~17:00

    자율운항을 위한 선박 기술개발
    최근 전세계적인 4차산업혁명의 일환으로 해사산업계에 도입이 촉진되고 있는 자율운항선박의 국내 및 해외의 기술개발 동향을 소개하고 2020년부터 2025년까지 해양수산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다부처사업으로 지원하고 있는 국가연구개발 프로젝트인 “자율운항선박기술개발”에 대하여 현재 진행 현황을 소개한다.
    • 하 태 범부단장 / 한국선급

    • - 2015-2018 한국선급 경영본부장/전무이사
      - 2019-2020 한국선급 연구본부장/전무이사
      - 2020-현재 한국선급 자율운항선박기술개발사업 TFT단장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J3   :   6/28, 15:10~17:00

    자율운항선박에 적용가능한 5G-Advanced 국제표준 동향
    자율운항선박 등 이동체의 자동화/무인화에 적용가능한 5G/5G-Advanced 국제표준기술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5G버티컬 중 하나인 해양산업의 5G기반 디지털 전환을 위하여 필수적인 해양통신플랫폼의 미래 모습을 살펴본다.
    • 구 현 희대표이사 / ㈜싱크테크노

    • - 2016년 ~ 현재: ㈜싱크테크노 대표이사
      - 2019년 ~ 현재: 5G해양버티컬 부문 3GPP국제표준기구 대표담당자
      - 2019년 ~ 현재: 5G포럼 집행위원
      - 2016년 ~ 2020년: 3GPP국제표준기구의 해양분야 표준항목(MARCOM) 라포처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J3   :   6/28, 15:10~17:00

    클라우드 로봇 지능: 열린 세계와 지속성장 패러다임
    현재 로봇 지능은 정적(Static)이고 폐쇄적(Closed)이어서 실세계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 지능을 훈련할 때 사용한 데이터와 실세계에서 마주하는 데이터 간 차이를 극복하고 미지의 대상과 상황에 적응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표는 지속 성장하며 실세계에 적응하는 로봇을 구현하기 위한 접근법으로 1) 클라우드를 통한 지능 공유와 증강 방법과 2) 열린 세계 인지와 지속성장 학습 방법 연구를 소개한다.
    • 장 민 수책임연구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1992: 서강대학교 전산학과 졸업(학사)
      - 1994: 서강대학교 전산학과 졸업(석사)
      - 2015: 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과 졸업(박사)
      - 1999 ~: 현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 2017 ~: 한국로봇학회 이사(편집출판,산학연 등)
      - 관심분야 : 인간로봇상호작용, 소셜로봇, 지식표현과 추론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K1   :   6/28, 09:00~10:50

    출연(연) 양자암호통신망 적용연구 및 서비스
    최근 기존 광통신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양자키 분배(QKD)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이에 따라 국가 과학기술 연구에 고성능 연구망을 제공하고자 하는 과학기술연구망(KREONET)에서도 보안 강화를 위하여 QKD 기반의 양자암호통신 연구 및 접목을 추진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KREONET의 QKD 기반 양자암호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연구 추진 방향에 대하여 소개하며, 이에 따른 연구 현황 및 출연(연) 양자암호통신망 구축/운영 사례에 대하여 살펴본다.
    • 손 일 권선임연구원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2019년 ~현재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선임연구원
      - 2018년 고려대학교 스마트 양자통신 연구센터 연구교수
      - 2018년 고려대학교 전기전자컴퓨터공학 박사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K1   :   6/28, 09:00~10:50

    KT 양자암호통신 서비스 진행 현황
    KT는 세계최초 양자암호 네트워크 표준화를 시작으로, Global no.1 실적을 달성하였다. 시스템 레벨에서 네트워크 단위로의 글로벌 양자암호 기술개발 Trend 전환 성과와 함께, 시장 확대를 위한 Use Case 발굴 및 상용화를 위한 서비스 레벨 기술 요구사항 등 최근의 성취를 발표한다. 또한 미래 양자인터넷으로의 진화 방향도 소개한다.
    • 김 형 수팀장 / KT 융합기술원

    • - KT 융합기술원 인프라DX연구소 Quantum DX팀장
      - 현) 디지털 뉴딜 양자암호 시범사업 KT컨소시엄 총괄책임자
      - 현) ITU-T Study Group 13, Working Party 1 Chairman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K1   :   6/28, 09:00~10:50

    SKT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 구축현황과 기술동향
    2016년부터 현재까지 상용화된 SKT의 양자암호통신망에 대한 소개와 상용화 경험을 바탕으로 양자암호통신망 설계, 구축, 운영에 필요한 최신 기술에 대한 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 김 민 형매니저 / SKT

    • - 에스케이텔레콤 유선개발팀 매니저 / 양자암호통신 및 QSDN 기술개발
      - ID Quantique Network Security Solution 이사 / QKMS 개발 및 사업개발
      - 에스케이텔레콤 Quantum Tech. Lab / 국산암호 암호전송장비 및 QKMS개발
      - 북경대학교 MBA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K2   :   6/28, 13:00~14:50

    장거리 양자통신 연구 동향
    차세대 보안통신 기술인 양자암호통신 분야의 기술 이슈들을 소개하고, 특히 장거리 양자암호통신을 위한 최신 기술 연구개발 현황을 발표한다. 구체적으로 장거리 양자암호통신 기술로 2018년에 제안된 이후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Twin field QKD 프로토콜 최신 연구에 대해 설명한다.
    • 한 상 욱책임연구원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 (2001. 3. ~ 2006. 8.)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및전자공학 박사
      - (2006. 1. ~ 2009. 1.) ㈜픽셀플러스 선임연구원
      - (2009. 2. ~ 2012. 4.) 삼성종합기술원 전문연구원
      - (2012. 5. ~ 현재) KIST 양자정보연구단 책임연구원 (단장)
      - (2020. 7. ~ 현재) 한국연구재단 양자정보과학 분야 전문위원
      - (2021. 5. ~ 현재) 전략물자관리원 기술분과(양자컴퓨팅) 위원
      - (2021. 11. ~ 현재) 외교부 과학기술외교자문위원회 데이터정보통신AI 분과 자문위원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K2   :   6/28, 13:00~14:50

    원자앙상블 기반 양자네트워크 기술개발 및 연구동향
    장거리 양자통신 네트워크 구현을 위해서는 양자메모리 기반의 양자중계기 기술이 필수적이다. 본 강연에서는 원자앙상블 기반의 양자메모리 기술과 이를 이용한 양자네트워크 연구동향에 대해서 살펴본다.
    • 조 영 욱교수 / 연세대학교

    • - 2021.03 ~ 현재: 연세대학교 물리학과 조교수
      - 2016.06 ~ 2021.02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 2014.03 ~ 2016.05 : 호주국립대학교 박사후연구원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K2   :   6/28, 13:00~14:50

    양자 네트워크 구현을 위한 양자 리피터 기술
    양자얽힘 현상은 양자정보과학의 심장이라고 할 수 있다. 양자얽힘 현상의 응용으로부터 장거리 양자통신과 양자네트워크의 핵심이 되는 양자리피터 구현이 가능하다. 이러한 중요성으로 인해 고품질의 양자얽힘을 가진 양자상태를 구현하는 것은 양자역학에 가장 핵심이 되는 기술이다. 본 강좌에서는 원자매질부터 얻어진 고품질 고효율 양자얽힘 광원의 원리와 개발 과정을 설명하고, 장거리 양자통신과 광자 기반의 양자연산의 핵심이 되는 독립적인 양자얽힘 교환 구현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고, 나아가 양자리피터 구현을 위해서 필요한 핵심 기술에 대해서 살펴본다.
    • 문 한 섭교수 / 부산대학교

    • - (現) 부산대학교 교수
      - (現) 양자센서 ITRC 센터장
      - (現) 한국광학회, 양자광학 및 양자정보분과 위원장
      - (前) 한국물리학회, 광학 및 양자전자분과 위원장
      - (前) 한국광학회, 양자전자분과 위원장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K3   :   6/28, 15:10~17:00

    양자내성암호 동향과 적용 사례
    암호기술을 무력화 시킬 수 있는 양자컴퓨터 시대에 양자내성암호는 수학 알고리즘을 사용해 해킹이 불가능한 보안 환경을 제공합니다. LG유플러스는 세계최초로 전송장비에 양자내성암호를 적용하고, 응용서비스를 개발하여 시범서비스를 제공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양자내성암호 전용회선 서비스를 출시하였습니다. 양자내성암호는 복잡하고 다양한 네트워크 구조에 적용이 용이하며,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금번 발표를 통해 양자내성암호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기술 동향과 적용 시 이슈 사항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 진 재 환팀장 / LG유플러스

    • ~ 현재 양자암호기술 및 유선망 기술개발, 유선망개발팀장
      ~ ’17.06 SDN/NFV, 유선망 기술개발
      ~ ’05.12 인터넷망 계획/설계
      ~ ’00.12 IMT-2000 단말 개발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K3   :   6/28, 15:10~17:00

    암호연산의 양자계산을 위한 양자회로
    1994년 RSA, ECC와 같은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이 양자컴퓨터에 의해 깨질 수 있다는 Shor 알고리즘과 1996년 구조화되지 않은 데이터에 대한 검색 속도를 빠르게 하는 Grover 알고리즘 등이 발표되면서 현재 사용하는 암호에 대한 이론적인 양자 공격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후, 암호에 대한 양자 안전성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양자컴퓨터에서 동작할 수 있는 양자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것은 기존 컴퓨터 환경과 매우 다르다. 본 발표에서는, 암호에 대한 양자분석 알고리즘을 간단히 살펴보고,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암호연산의 양자 계산용 양자회로를 보임으로써, 암호에 대한 양자공격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소개한다.
    • 이 석 준교수 / 가천대학교

    • -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과 학사, 석사 (1994~2000)
      - 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부 박사 (2010~2019)
      - ETRI 정보보호연구본부 책임연구원/PL (2000~2022)
      - 현 가천대학교 컴퓨터공학부(스마트보안전공) 부교수 (2022~현재)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K3   :   6/28, 15:10~17:00

    양자컴퓨터를 이용한 암호분석
    양자컴퓨터의 개발이 현실화됨에 따라 지금까지 높은 복잡도로 인해 해결 불가능하였던 서비스 (머신러닝, 시뮬레이션)들이 실용화될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암호와 같은 난제도 양자컴퓨터 상에서 해독이 가능해 짐에 따라 큰 문제를 야기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본 강연에서는 현재 운용가능한 양자컴퓨터 자원에 대해 비교 분석하며 양자컴퓨터를 통해 암호를 분석하고 있는 최신 연구 결과들에 대해 확인해 보도록 한다.
    • 서 화 정교수 / 한성대

    • - 2016. 02. 부산대학교 컴퓨터 공학과 박사
      - 2015. 04. ~ 2015. 05. 싱가포르 난양공대 인턴
      - 2016. 01. ~ 2017.03. 싱가포르 과학기술청 연구원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L1   :   6/28, 09:00~10:50

    기술패권경쟁 표준 이슈
    기술표준, 특히 디지털 핵심기술표준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배경은 미-중의 기술패권경쟁이고, 그것에 수반하는 기술국가주의 경향이다. 국제표준화, 나아가서 글로벌 룰 메이킹을 주도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핵심기술의 표준화를 기술외교, 국제안보, 지정학 관점에서 거시적으로 조망할 필요가 있다. 외교, 안보, 기술의 전략적 차원과 현장에서 뛰는 글로벌 표준화 전문가를 연계하기 위한 틀이 필요하다. 현재는 새 정부가 들어서는 전환기이다. 이런 전환기에 글로벌 룰 메이커로 도약하기 위한 어젠다 설정이 필요하다.
    • 이 희 진교수 / 연세대

    • - 연세대 국제학대학원 교수
      - 융합산업과 표준화 연구센터
      - 일본 히토츠바시대학 이노베이션연구센터 방문교수, 멜번대 교수
      - 서울대 경영학 학사, 사회학 석사, 런던정경대(LSE) 정보시스템 박사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L1   :   6/28, 09:00~10:50

    6G/Open RAN 표준현황 및 대응방향
    우리나라가 3G, 4G를 거치며 5G에서는 국제표준 선도국으로서 위상을 강화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R&D 기술력과 더불어 그 기술을 주도적으로 표준화하기 위한 국제표준화 활동을 꾸준히 강화하였기 때문이다. 5G에 이어 2030년경 6G로의 기술진화를 위한 국제표준화 작업이 착수되어 6G 비전 수립 단계부터 아젠다를 선점하기 위한 치열한 경쟁이 시작되었다. 장기적인 로드맵은 ITU에서의 6G 비전과 요구사항 수립(‘21년~’25년), 6G 후보기술 접수, 평가, 선정, 국제표준 완료(‘26년~’30년)을 목표로 일정이 합의되어 가고 있는 가운데, 6G 비전 수립 단계(‘21년~’23년)에서의 핵심 이슈 사항은, 세부적인 표준화 타임라인, 6G 시나리오와 핵심 성능의 정의, 6G 후보기술과 주파수에 대한 계획이다. 본 강연에서는 이러한 이슈와 대응방향을 공유하여 산·학·연·관 협력을 모색하고자 한다. 아울러, 네트워크의 개방화와 지능화를 화두로 오픈랜 시장 선점을 위한 글로벌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현안이라 할 수 있는 오픈랜에 대한 표준 측면에서의 현황과 향후 방향을 공유하고자 한다.
    • 정 용 준팀장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 연세대학교 공학 석사 /공주대학교 공학 박사
      - 2002년 6월 ~ 현재: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이동통신표준팀장
      - 2014년 1월 ~ 2016년 12월: ETSI MCC(Mobile Competence Centre) 3GPP RAN2 Project Manager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L1   :   6/28, 09:00~10:50

    양자 표준 현황 및 대응 방향
    양자암호통신 기술은 세상에 나온 지 얼마 되지 않은 기술이다. 전 세계 국가들은 기술 개발과 국제 표준 개발을 동시에 진행하며 주도권을 잡기 위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이번 발표에서는 양자암호통신 기술의 국제표준 개발 현황을 소개한다. 크게 (ETSI, ITU-T, JTC 1) 3개 국제 표준화 기구들의 양자암호통신 기술 표준 개발 현황들을 살펴보고, 각 표준화 기구별 특징과 차별점 등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양자암호통신 기술 국제 표준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 윤 춘 석선임연구원 / 주식회사 케이티

    • - 2021년 3월 ~ 현재: ITU-T SG17 Q.15 Associate Rapporteur
      - 2020년 3월 ~ 현재: TTA ICT 국제 표준화 전문가
      - 2019년 3월 ~ 현재: 한국 ITU 연구위원회 SG2 & SG13 연구반 간사, SG17 위원, JTC1/SC27/WG3 한국연구반 위원
      - 2018년 5월 ~ 현재: 주식회사 케이티 선임연구원
          ~ 2017년 2월: 고려대학교 응용물리학과 이학박사수료
          ~ 2014년 2월: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공학석사
          ~ 2011년 2월: 경북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공학사

      - 관심분야: 양자정보이론, 양자암호통신, 양자인증, 양자서명, 양자 프로토콜, 양자 인터넷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L2   :   6/28, 13:00~14:50

    인공지능 표준화 추진현황
    공적 표준화 그룹인 ITU-T와 ISO 에서 진행되고 있는 인공지능 관련 표준화 현황에 대하여 소개하고 인공지능 사실 표준화 그룹인 MPAI의 활동과 발간된 표준과 진행되고 있는 표준들을 상세히 소개한다. 또한 IEEE에서 개발 중인 멀티모덜 대화 표준에 대하여 소개한다.
    • 최 미 란 책임연구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표준전문위원
      - ITU-T SG16 Q24 라포쳐
      - MPAI 사실표준화그룹 부의장
      - IEEE P3300 Multimodal Conversation 표준화 그룹 부의장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L2   :   6/28, 13:00~14:50

    분산 엣지 컴퓨팅을 위한 네트워킹 기술 표준화 현황
    분산 엣지 컴퓨팅 환경을 위한 네트워킹 기술은 클라우드 위에서 동작하는 서비스에 대한 네트워크 설정 및 관리 뿐만 아니라 서비스 품질 보장 및 연결성 관점에서 컴퓨팅 자원의 효율성 및 최적화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 이를 위해 IETF 표준화기구에서 최근 진행하고 있는 분산 엣지 컴퓨팅을 위한 표준화 기술의 현황을 소개한다.
    • 선 경 재 연구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2013. 3~ 2021. 8, 숭실대학교 공학박사
      - 2022. 1. ~ 현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표준연구본부 연구원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L2   :   6/28, 13:00~14:50

    고품질 AI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품질 표준화 동향
    성공적인 AI 서비스 구축을 위해서는 양질의 데이터의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기존 데이터들의 품질을 평가하고 개선할 수 있는 표준화된 방법이 필수적이다. 본 강연에서는 인공지능 분야에서의 데이터 품질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살펴보고, W3C의 DQV(Data Quality Vocabulary), DUV(Dataset Usage Vocabulary)와 ISO/IEC JTC1 SC42에서 표준화 진행중인 여러 데이터 품질 표준을 중심으로 인공지능의 품질 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개별 데이터 품질 요소와 더불어 AI의 개발 특징을 반영한 데이터 생애주기 차원에서의 데이터 품질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
    • 정 의 현 교수 / 안양대학교

    • - 1992 한양대학교 전자공학과 공학사
      - 1994 한양대학교 전자공학과 공학석사
      - 1999 한양대학교 전자공학과 공학박사
      - 1999~2002 대우통신 중앙연구소 선임 연구원
      - 2004~현재 안양대학교 AI 융합학과 교수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L3   :   6/28, 15:10~17:00

    Matter Open Source : Platform-Oriented Interoperable Framework for Home IoT
    IoT 프로토콜 기술에 있어서 상호호환성을 보장하는 개방형 표준 생태계 구축은 오랫동안 해결되지 않았던 숙제였다. 누구나 개발에 참여하는 투명한 거버넌스 기반의 오픈소스 협력 모델을 통해 이를 해결해 보려고도 했으나, 한계에 봉착해왔다. 이는 IoT를 자사 플랫폼 중심의 생태계를 구축한 후 이를 기반으로 사업을 해야만 하는 업계 요구사항을 만족시키지 못했기 때문이다. Matter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지한 플랫폼 강자들인 Google, Apple, Amazon 등이 중심이 되어 2019년에 발족이 되었으며 삼성전자도 참여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Matter의 설립 배경 및 달성 목표, 오픈소스 개발 현황 및 이를 중심으로 각 업체들의 움직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IoT 오픈소스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 홍 문 기 Principal Engineer / 삼성전자 삼성리서치

    • - 2005년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학사
      - 2008년 同 대학원 석사
      - 2013년 同 대학원 박사
      - 2013년~삼성전자 삼성리서치 (舊 소프트웨어센터) 재직
      - 2016년~2018년 Open Connectivity Foundation (OCF) Open Source Bridging TG 의장
      - 2019년~현재 LF Edge 산하 Home Edge 프로젝트 메인테이너
      - 2019년~현재 LF Edge Board of Directors
      - 관심분야: IoT/Cloud-native 오픈소스, 개방형 표준 및 관련 기술 (LF Edge, O-RAN, Matter 등)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L3   :   6/28, 15:10~17:00

    안전한 오픈소스 사용을 위한 취약점 탐지 및 대응기술
    AI, 빅데이터, IoT 등 첨단 기술을 채용한 디지털 혁신에는 오픈소스가 필수요소가 되고 있으며, 오픈소스는 또한 법적 기술적 관리가 필요하다. 오픈소스 활용은 개발 시간 단축 뿐 아니라 혁신 기술 채용으로 경쟁력 있는 서비스를 개발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하지만, 오픈소스 사용에는 라이선스 위반으로 법적 위협과 더불어 보안취약점으로 해킹과 랜섬웨어 공격에 치명적인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 본 강연에서는 CVE 등 오픈소스 보안취약점 탐지기술과 버전 업그레이드와 백포팅 등 보안 관리 기술을 소개한다. 더불어, 소프트웨어 공급망 공격이 다양한 형태로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 공급망 위협 동향과 보안 강화를 위한 SBOM 정책과 표준을 소개한다. 정확한 SBOM 생성을 위해 수정된 오픈소스를 포함한 구조분석 기술인 Centris, 컴포넌트에 알려진 취약점이 없는지 검증을 위한 Vuddy 기술, 그리고 공개 운영중인 IoTcube 기술 소개를 통해 오픈소스 관리를 쉽게 하면서도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한다.
    • 이 희 조 교수 / 고려대

    • - 2004-현재 고려대 정보대학 컴퓨터학과 교수
      - 2015-현재 고려대 소프트웨어보안연구소 (CSSA) 소장
      - 2019-현재 고려대 융합보안대학원 책임교수
      - 2018-현재 (주) 아이오티큐브 공동대표
      - 2010-2011 미국 CMU CyLab 방문교수
      - 2001-2003 안랩 최고기술책임자 (CTO)
      - 2000-2001 미국 Purdue University CERIAS 박사후연구원
      - 1989-2000 POSTECH 컴퓨터공학과 학사/석사/박사
      - 1992-현재 POSTECH PLUS 설립 및 초대회장, 정회원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ession L3   :   6/28, 15:10~17:00

    오픈소스로 만들어가는 멀티클라우드 생태계-Cloud-Barista
    본 세션에서는 클라우드 차기 기술로 조명받고 있는 멀티클라우드 분야의 최신 동향과 함께, 공개SW로 개발중인 멀티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인 클라우드바리스타(Cloud-Barista)를 중심으로 주요 기술 및 멀티클라우드의 산업 생태계 적용방안 등을 살펴본다. 또한, 멀티클라우드 기술을 수용하기 위한 국내 이슈 및 시사점을 조망한다.
    • 강 동 재 실장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실장
      - 현, 정보과학회 이사
      - 현, 클라우드바리스타 공개SW커뮤니티 리더
      - 전,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겸임교수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pecial Session I   :   6/22, 09:00 ~ 10:50

    인터넷 생태계
    Definition: Ecosystem / Toward Global Internet / Technology, Standardization and Conferences
    Activities: Regional and Global / Users / Public Sector and Commercial Sector / Human Network Issue and Remarks
    • 전 길 남 명예교수 / KAIST
    • - 1974: Ph.D UCLA
      - 1979-1982: KIET/ETRI
      - 1980~: 인터넷 연구/개발
      - 1982~: KAIST
      - 1980: 대통령상 (등산)
      - 1998: 대통령상 (IT)
      - 2000: Fellow, IEE
      - 2012: Internet Hall of Fame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pecial Session I   :   6/22, 09:00 ~ 10:50

    초기 IP 라우터 확산 (IP Router Proliferation in 1980s)
    80년대 초기의 한국 인터넷은 국내에서 자체 개발한 라우터를 기반으로 구축되고 확산되었다. 한국 인터넷 역사의 초기에 라우터 개발과 확산에 관한 역사를 되살펴보고, 라우터 개발에 관한 생태계 확산에 대한 활동과 이슈를 살펴보도록 한다.
    • 박 현 제 소장 /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 - 1982: 서울대컴퓨터공학과 졸업
      - 1990: KAIST 전산학 박사
      - 1985~1990: SDN manager
      - 1997~2001: ㈜두루넷 전무이사
      - 2001~2011: ㈜주인네트 대표이사
      - 2011~2018: 과기정통부, 지경부 융합서비스PM, 총괄PM등
      - 2019~현재: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소장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pecial Session I   :   6/22, 09:00 ~ 10:50

    전용선 기반 인터넷 (Leased Line Internet)
    1980년대 인터넷 초기 도입 당시의 국내 네트워크 현황과 90년대 해외 네트워크 연결 과정에 대하여 소개. 특히 인터넷 선도국이었던 미국과의 연결 과정을 소개하고 전용선 기반의 인터넷 구성이 가져온 효과를 사용성과 경제성 측면에서 설명하고, 국내 인터넷 산업계에 끼친 임팩트에 대하여 소개
    • 윤 진 현 상무 / KT
    • -주요업무분야: 인터넷 기간망 설계/구축 (’93~’99), IDC 설계/구축(‘00~’02), 인터넷운영체계 및 분석시스템(‘03~’10), 기술전략수립(‘10~19), AI기반 미디어서비스 개발(‘20~현재)
      -경력: KT 연구개발본부(’93~00), KT네트워크부문(‘03~’09), KT 융합기술원 (’10~현재)
      -학력: 포항공과대학 공학사(’91), 공학석사(’93), 서울대학교 경영학전문석사(eMBA)(’13)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pecial Session I   :   6/22, 09:00 ~ 10:50

    상용 ISP (Commercial Internet Service Provider)
    1990년대의 국내 인터넷 학술망의 운영 및 교류에는 대학교 및 연구소 뿐 아니라 한국통신, 데이콤 양대 통신 기업도 참여하였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1994년에 한국통신, 데이콤, 그리고 벤처기업 성격의 아이네트가 최초의 상용 ISP로 등장하여 경쟁하게 되었다. 또한 초기 학술망 참여 인력이 업계에서 활약하여, 결과적으로 초고속망의 조기 확산에도 큰 기여를 하게되었다.
    • 박 태 하 대표 / 솔박스
    • - (주) 솔박스 대표이사 (2004 ~ 현재)
      - (주) 한솔아이글로브 기술담당 이사 (2002 ~ 2003)
      - (주) PSINet Korea CTO (1998 ~ 2001)
      - (주) 아이네트 연구소장 (1994 ~ 1998)
      -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1988), KAIST 전산학 박사 (1995)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pecial Session I   :   6/22, 09:00 ~ 10:50

    2022 KR4050 Workshop Topics (패널토의)

    Special Session II   :   6/22, 15:10 ~ 17:00

    OCF표준 및 오픈소스 동향
    OCF 개방형 사물인터넷 표준 기술은 현재 핵심 기술 (OCF Core Framework) 의 개발이 거의 마무리된 단계이며, 부수적인 편의성 강화 및 각 도메인 (e.g. Smart Commercial Building) 적용에 요구되는 요소기술의 표준화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본 발표에서는 이와 관련된 표준기술의 동향을 소개합니다.
    • 이 주 철 책임 / ETRI
    • 현재 ETRI 표준연구센터 지능정보표준연구실에서 OCF 관련 표준화를 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OCF 플랫폼 기반의 이종 사물인터넷 기술 간 연동 방법 쪽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pecial Session II   :   6/22, 15:10 ~ 17:00

    OCF 디바이스 개발 가이드 소개
    1. OCF 규격 개요
    2. OCF Device to Device 개발 가이드
    3. 각종 tool 및 opensource 사용법
    • 하 용 구 수석 / 코맥스
    • - SK 텔레텍, 휴대폰 SW 개발(~2004)
      - 팬택, 휴대폰 SW 개발 (~2017)
      - 코맥스, 홈 네트워크 SW 개발(~현재)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pecial Session II   :   6/22, 15:10 ~ 17:00

    OCF Cloud (D2C, C2C) 개발 가이드 소개
    2021년 3월OCF Korea Forum에서 회원사 대상으로 발간/배포한 “OCF Cloud (D2C, C2C) 구축 개발 가이드”에 대해 소개하는 세션으로, OCF Cloud 오픈소스를 바탕으로 개발환경 구성부터 상용 클라우드 환경에서 OCF Cloud Service구축 후 D2C 디바이스를 Cloud에 연결하고 C2C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확인하는 과정을 전반적으로 설명합니다. OCF Cloud개념 소개 및 OCF Cloud 구축을 위해 필요한 기술/기능을 설명하고, OCF Cloud 구축 시 단계별로 필요한 컴포넌트들을 어떻게 설치/설정하고 이를 확인하는지에 대한 가이드 내용을 요약하여 소개합니다.
    • 윤 혜 정 대표 / 아임소프트랩
    • - 2020 ~ 현재 아임소프트랩 OCF 표준기술 개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대표
      - 2015 ~ 2020 (주) 엔텔스 E&S사업부/서비스기술팀 부장
      - 2014 ~ 2015 (주) 크레이스튜디오 개발팀 팀원
      - 2012 ~ 2013 (주) 홍코드 개발팀 과장
      - 2011 ~ 2012 (주) 픽플커뮤니케이션 스마트 모바일팀 과장
      - 2010 ~ 2011 (주) 오로라 디자인랩 기술연구소 프리렌서
      - 2006 ~ 2009 (주) 베스트 제품연구소 선임연구원
      - 2003 ~ 2006 (주) 아이브릿지 중앙연구소 선임연구원
      - 2001 ~ 2003 (주) 에이치브레인 NI사업부 사원 랩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Special Session II   :   6/22, 15:10 ~ 17:00

    OCF 코리아포럼 '스마트홈 표준구현컨설팅 프로그램' 소개
    현재 OCF 표준기술은 완성단계로 일부 오픈소스도 구현이 되어있으나, 국내 중소기업이 시장에서 선제적으로 사업화하기 위한 개발환경이 부족해 IoT 연동을 위한 실제 개발 및 테스트 대상 표준구현물 부재로 개발이 어려움. 2021년, OCF 코리아 포럼에서 ’OCF 개발자 가이드’를 배포하였으나 이를 구현해 볼 수 있는 대상 기기 및 클라우드 등 구현물이 없음. 따라서, 클라우드 제품·서비스를 구현 및 IoT 연동을 지원하는 클라우드를 최신 OCF 표준기술에 부합하게 구현하고, OCF 코리아 포럼과 협력을 통해 개발환경 마련하여 회원사들과 기술협력을 통한 사업화 지원을 계획하였음. 본 발표를 통해 OCF표준을 구현하고자 하는 기업 및 전문가들이 활용할 수 있는 개발지원 프로그램을 소개하고자 함
    • 이 병 헌 차장 / KASH
    • - 2015~현재 한국스마트홈산업협회 융합표준본부 차장
      - 2014~2015 한국자원경제연구소 책임연구원
      - 2011~2014 아시아환경∙에너지연구원 선임연구원
      - 2010~2012 환경부 인천녹색환경지원센터 팀장


    • PDF Download Zoom Live YouTube Live

    TOP